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 초고령사회 진입 눈앞···생보업계, 치매간병·유병자 보험 공략

금융 보험

초고령사회 진입 눈앞···생보업계, 치매간병·유병자 보험 공략

등록 2024.09.13 12:20

김민지

  기자

공유

지난해 65세 인구 비중 944만명···10.4%가 치매 환자1인 가구 비중은 35.5%···노후 복지 수요 증가생활자금특약·시니어 케어 서비스···상품 출시 '봇물'

초고령사회 진입 눈앞···생보업계, 치매간병·유병자 보험 공략 기사의 사진

생명보험사들이 치매간병·유병자보험 상품을 연이어 선보이고 있다. 고령화가 지속하고 1인 가구 등 가족 구성 변화로 계속해서 증가하는 치매 관리비용 등 노후 간병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보험상품을 찾는 소비자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13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는 944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18.2%를 차지했다. 내년에는 1000만명을 넘어 고령자 인구 비중이 20%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한다.

가족의 세대 구성도 변화를 보이고 있다. 1인 가구 비중은 2010년 23.9%에서 지난해 35.5%로 급격히 늘었다. 반면 같은 기간 2세대 이상 가구 비중은 57.5%에서 43.0%로 감소 추세다.

이처럼 빠른 고령화와 가족 구성 변화로 국가적 차원의 노후 복지 수요는 꾸준히 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노인장기요양보험 인정자 수는 약 110만명, 65세이상 인구 대비 비율은 11.1%로 2012년(5.8%)보다 큰 폭으로 증가했다.

급격한 고령화는 암과 같은 질병 발생을 더욱 증가시키고 있다. 보건복지부의 국가암등록통계를 보면 지난 2021년 전체 암 유병자는 243만명이며, 65세 이상에서는 119만명으로 7명 중 1명이 암 유병자였다. 최근 의료기술 발달과 건강검진 증가로 암 생존율은 계속 높아지고 있으나, 지속적인 정기검사와 재발·전이로 인한 추가 수술 비용으로 인한 환자들의 부담은 여전하다.

치매 또한 노후에 피해가기 쉽지 않은 질병이다.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자 946만명 중 약 98만4000명(10.4%)이 치매 환자며 2030년에는 142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치매환자 1인당 연간 관리비용은 2010년 1851만원에서 2022년 약 2220만원으로 약 19.9% 증가한 것으로 추정되며 일반 가구보다 노인부부 가구의 월평균 소득이 낮아 상대적인 경제적 부담은 더 크게 다가올 것으로 보인다.

이에 생보사들은 치매·간병보험과 유병자 보험 상품을 연이어 선보이고 있다. 삼성생명은 업계 최초로 시설·재가·요양병원·가족돌봄까지 요양의 전 치료 여정을 보장하는 '삼성 함께가는 요양보험'을 내놨다. 치매 모니터링과 병원 예약 대행, 방문요양, 방문목욕 제공 등 장기요양 등급 진단에 따라 다양한 케어 서비스 제공

동양생명도 지난달 고령화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치매간병보험 대비 특약 및 가입 가능 나이, 보장 기간 등을 확대하며 상품 경쟁력을 한층 강화한 '(무)수호천사치매간병은동양생명보험'을 출시한 바 있다. 장기요양 판정에 따라 매년 피보험자가 생존 시 생활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생활자금특약을 신설한 것이 특징이다.

교보라이프플래닛생명은 지난 2일 치매 또는 다른 질병이나 재해로 인한 장해 발병 시 진단보험금과 함께 정해진 기간에 매월 간병비를 지급받는 '(무)교보라플 꼭필요한 치매간병보험' 선보였다. 이 상품은 국민은행 KB 스타뱅킹 앱에서만 가입할 수 있는 방카슈랑스 전용 보험이다.

한화생명이 판매 중인 '한화생명 The H 간병보험'은 입원보장이 부족한 시니어 고객을 위한 다양한 특약을 추가했다. 나이가 들수록 골절사고의 위험이 높아지는 점을 감안해 재해골절치료 특약(팔·다리·대퇴골)을 탑재한 것이 특징이다.

생명보험협회 관계자는 "치매간병보험과 유병자보험이 초고령사회를 대비하는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며 "소비자들이 자신의 상황에 적합한 상품을 비교, 선택해 노후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김민지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