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제약에 따르면 연결 매출액은 전년 대비 11.9% 증가, 영업이익은 97.3% 감소한 결과를 보였다. 특히 매출액은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한 반면, 영업이익은 글로벌 CMO(계약 생산 조직) 사업과 관련된 비용 증가 탓에 감소했다.
삼일제약의 매출 성장은 기존 인기 제품과 신제품의 꾸준한 성장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리박트', '리비디' 등 기존 제품 라인업과 '레바케이', '아필리부'와 같은 최근 출시된 신제품들이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며 실적을 견인했다.
'아필리부'는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개발한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로, 2024년 5월 출시 첫 달에 10억원의 매출을 기록, 예상보다 훨씬 높은 성과를 올리며 꾸준히 성장 중이다.
안과영업본부는 누적 672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34.4% 성장했고, CNS(중추신경계)영업본부도 365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30.4% 성장했다. CNS 사업부는 2021년 67억원에서 급격히 성장해 2024년까지 365억원을 기록하며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CNS 부문 성장은 2021년 하반기부터 전담 영업팀을 구성하고, 비아트리스, 산도스 등 정신과 의약품 신규 라인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한 결과로 풀이된다.
회사 관계자는 "별도 기준으로는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지만, 연결실적에는 글로벌 CMO 사업을 추진중인 베트남 생산법인이 자회사 실적으로 반영된다"면서 "베트남법인이 현재는 상업 생산을 위한 준비 과정에 있어 인건비 및 운영비용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판관비 증가 영향으로 연결실적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주력 품목의 지속적인 성장과 신제품인 '레바케이', '아필리부' 등의 성장 및 최근 실적 성장세가 가파른 안과사업부 및CNS 사업부의 성장 등으로 올해에도 의미 있는 실적달성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이병현 기자
bottlee@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