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2일 목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증권 '서학개미 톱픽' 테슬라, 겹악재에 시총 1조달러 붕괴

증권 종목

'서학개미 톱픽' 테슬라, 겹악재에 시총 1조달러 붕괴

등록 2025.02.26 13:18

정백현

  기자

공유

종가 기준 전일比 8% 이상 급락 마감중국서 "오토파일럿 실망" 후기 속출유럽서는 판매량 줄고 평판마저 악화

그래픽=홍연택 기자그래픽=홍연택 기자

'서학개미 투자 1순위 종목'으로 꼽히는 테슬라의 주가가 겹겹이 찾아온 악재 때문에 급락하면서 시가총액이 1조달러 아래로 내려왔다.

뉴욕증시 나스닥 지수에 상당된 테슬라는 지난 25일(현지 시각) 302.8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전 거래일보다 8.39% 하락한 것이다. 종가 기준 테슬라의 시가총액은 9740억달러(한화 약 1394조원)로 줄어들었다.

테슬라의 주가가 이처럼 떨어진 것은 세 가지 악재가 중국과 유럽에서 동시에 겹쳤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중국발 악재는 주행 보조 시스템 '오토파일럿' 문제 때문으로 꼽힌다. 최근 업데이트된 버전의 오토파일럿은 길 찾기 기능 수준이 기대보다 떨어지면서 중국 소비자들로부터 호평을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오토파일럿 시스템을 소개하면서 "완전한 자율 주행의 꿈을 가능케 할 것"이라고 호언장담했다. 그러나 중국에서 실제 이 시스템을 구동한 결과 미국에서 제공 중인 오토파일럿보다는 수준이 낮다는 현지 소비자들의 이용 후기가 나오고 있다.

특히 유료로 오토파일럿 시스템을 제공하는 테슬라와 달리 비야디(BYD)와 샤오미 등 중국 전기차 업체가 만든 전기차에는 무료로 주행 보조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어서 테슬라가 중국 시장 내 경쟁에서 뒤처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유럽발 악재는 시장 성장과 반비례한 테슬라의 경영 실적이 꼽히고 있다. 지난 25일 유럽자동차제조업협회가 발표한 1월 유럽 내 전기차 판매 현황에 따르면 유럽 전체 지역의 전기차 판매량은 37% 늘어났으나 테슬라의 판매량은 오히려 45% 줄어들었다.

테슬라의 올해 1월 유럽 내 판매량은 9945대로 집계됐으며 판매량을 기준으로 한 테슬라의 유럽 시장 점유율은 1.8%에서 1.0%로 0.8%포인트 급감했다.

유럽에서 테슬라의 인기가 줄어든 것은 소비자들을 매료시킬 만한 신차가 없는 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후광을 업은 머스크 CEO가 독일과 영국 등 유럽 각국의 정치 현안에 지나치게 간섭한 것이 테슬라의 평판을 망가뜨린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뉴스웨이 정백현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