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2일 목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 지난해 은행 순익 22.4조원···충당금 기저효과에 웃었다

금융 은행

지난해 은행 순익 22.4조원···충당금 기저효과에 웃었다

등록 2025.03.14 06:00

박경보

  기자

공유

대손비용 31% 줄였지만 이자이익 증가세는 큰 폭 둔화올해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손실흡수능력 확충 유도"

지난해 은행 순익 22.4조원···충당금 기저효과에 웃었다 기사의 사진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국내은행의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5.5% 증가한 22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14일 밝혔다. ELS 배상비용(1조4000억원) 등에도 대손비용이 3조원 이상 줄면서 수성이 개선됐다.

지난해 국내은행의 이자이익은 59조3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0.2%(1000억원) 증가했다. 다만 이자이익 증가율은 5.8%에 달했던 전년 대비 크게 둔화됐다. 순이자마진(NIM)도 지난 2022년 4분기를 고점으로 매년 축소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국내은행의 비이자이익은 6조원으로 전년 대비 2.9%(2000억원) 증가했다. 시장금리 하락에 따라 유가증권매매이익 등 유가증권관련이익(5조8000억원)이 전년 대비 8000억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국내은행의 판매비와 관리비는 27조4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3.2%(9000억원) 증가했다. 인건비(16조5000억원) 및 물건비(10조9000억원)는 전년 대비 각각 6000억원, 2000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국내은행의 대손비용은 6조9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30.9%(3조1000억원)나 급감했다. 이는 지난 2023년 대손충당금 산정방식 개선 등에 따라 대손충당금을 추가 적립한 기저효과의 영향이다.

지난해 대손비용 감소에 따라 국내은행의 순이익은 늘었지만 이자이익은 증가세는 지속 둔화되는 추세다. 특히 올해는 미국 보호무역주의 심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취약부문 중심의 신용리스크 확대 우려도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이 위기 확대시에도 본연의 자금중개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지속 유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