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2일 목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 한기평, 롯데손보 후순위채 신용등급 전망 안정적→부정적 하향

금융 보험

한기평, 롯데손보 후순위채 신용등급 전망 안정적→부정적 하향

등록 2025.05.13 21:47

이지숙

  기자

공유

사진=롯데손해보험 제공사진=롯데손해보험 제공

한국기업평가는 롯데손해보험에 대해 보험금지급능력(IFSR), 후순위사채, 신종자본증권의 신용등급 전망을 모두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고 13일 밝혔다. 단 신용등급은 각각 기존 'A', 'A-', 'BBB+'를 각각 유지했다.

한기평은 롯데손보의 신용등급 전망 변경 사유에 대해 ▲자본 관리 부담 지속 예상 ▲제도변화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이익이 큰 폭 변동 ▲운용자산 리스크가 현실화되며 투자손실 증가·자산건전성 저하 등이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우선 한기평은 롯데손보의 자본관리 부담이 크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말 롯데손보의 킥스(K-ICS) 비율은 156%로 비교적 우수한 수준이나 경과조치 효과와 해지율 관련 예외모형 적용효과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국내 보험사 중 예외모형을 적용한 회사는 롯데손보가 유일하며, 원칙 모형 적용 시 킥스 비율은 127%로 업계 평균을 크게 하회한다.

한기평은 "모회사가 사모펀드(PEF)로 유상증자를 통한 자본확충 가능성이 높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재보험 출재 및 위험자산 매각을 통한 요구자본 축소, 기본자본으로 인정되는 자본성증권 발행 등 기본자본 킥스 비율 제고를 위한 다각적인 전략이 검토 및 실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롯데손보는 지난 8일 최초 조기상환 시점이 도래한 후순위채(900억원)의 경우 금융당국의 승인을 받지 못해 상환이 지연되고 있다. 해당 후순위채는 추가 자본확충을 통해 규정상 조기상환 요건을 충족한 후 상환할 계획이다.

롯데손보는 제도변화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실적도 큰 폭으로 요동치고 있다. 롯데손보는 예외모형을 채택해 보험계약마진(CSM) 조정 및 손실 발생 폭을 줄였으나 원칙모형 적용시 순손익은 242억원에서 -329억원으로 적자전환한다.

한기평은 "올해 손익은 전년 대비 개선되겠지만 보험손익 안정화 여부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며 "CSM 확보를 통한 CSM 상각이익 증대 가능 여부, 예실차 및 계리가정 관리 강화를 통한 보험손익 안정성 제고 여부 등이 주요 모니터링 요소"라고 언급했다.

운용자산 리스크가 현실화되고 있는 점도 주목된다. 롯데손보의 작년 말 위험자산 비중은 41%로 업계평균(35%)을 상회하고 있으며 특히 수익증권(대부분 대체투자) 비중이 높은 편이다. 대체투자 펀드 관련 평가손실 증가가 투자손익 악화(2024년 -1471억원)의 주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롯데손보는 2022년부터 자산리밸런싱을 추진해 부동산, SOC, 항공기 등 위험자산을 매각하고 국공채 등 채권 비중을 늘리고 있다.

한기평은 "할인율 산출기준 강화, 경과조치 효과의 점진적 소멸, 자본성증권 콜(Call) 시점 도래로 킥스 비율 하방압력이 지속될 것"이라며 "고금리 환경과 국내외 부동산 경기를 고려할 때 자산건전성 역시 단기간 내 큰 폭의 개선이 이뤄지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