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회견서 강력 비판···노조 "노동자·지역경제 파괴"
신장식 조국혁신당 의원이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홈플러스 청문회 개최 촉구 기자회견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민주당 을지로위 위원장을 맡고 있는 민병덕 의원은 14일 국회에서 홈플러스 노조, 입점점주, 전단채 피해자 단체 대표자들과 기자회견을 열고 "홈플러스의 대규모 폐점 계획은 대주주 MBK의 '먹튀 선포'와 다름없다"며 "폐점 계획 철회와 함께 대주주 MBK의 자구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민주당 을지로위원회와 민병덕 의원, 허성무 의원, 권향엽 의원을 비롯해 진보당 정혜경 의원, 사회민주당 한창민 의원, 홈플러스 사태 해결 공동대책위의 주최로 열렸다. 강우철 마트노조 위원장, 안수용 홈플러스 지부장, 김병국 홈플러스 입점점주비상대책협의회 회장, 이의환 전단채 피해자 비대위 집행위원장 등도 회견에 참석했다.
앞서 홈플러스는 13일 긴급 생존경영 체제에 돌입했다고 발표한 가운데, M&A 성사까지 자금 압박을 완화하는 취지에서 68개 임대점포 가운데 임대료 조정 협상에 진전이 없는 15개 점포에 대한 순차적 폐점을 진행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폐점 대상 점포는 서울 시흥점과 가양점, 일산점, 인천 계산점, 안산고잔점, 수원 원천점, 화성동탄점, 천안신방점, 대전 문화점, 전주완산점, 대구 동촌점, 부산장림점, 부산감만점, 울산북구점, 울산남구점 등으로 알려졌다.
정치권과 노동계, 언론 보도 등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올 7월 전 국민 대상 민생지원금 사용처에서 전례에 따라 대형마트가 포함되지 않으면서 최근 매출 감소폭이 더욱 확대됐다고 주장했다. 회생절차 중인 기업의 특성상 외부 차입이 어려운 상황에서 매출 감소가 자금 유동성 압박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 홈플러스 설명이다.
안수용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장은 "매장은 수천 명의 직영 노동자와 수많은 입점 업주가 생계를 이어온 터전"이라며 "하루아침에 문을 닫게 되면 지역경제는 직격탄을 맞고 노동자와 입점 업주의 생계는 한순간에 나락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안 지부장은 "MBK 김병주 회장의 파렴치한 행태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내부 경영 실패를 덮기 위해 외부 요인 탓만 하는 것은 무책임의 극치"라고 밝혔다. 이어 "사회적 대화기구 설치와 MBK의 행태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김병국 홈플러스 입점점주비상대책협의회 회장은 "MBK는 지난 10년간 홈플러스 경영부실이 가중되는 것을 알면서도 투자금 회수에만 혈안이 돼 홈플러스 경영 정상화에는 관심이 없었다"며 "김병주 MBK 회장이 홈플러스 인수 당시 약속한 투자금 1조원과 회생신청 이후 약속한 사재 출연을 즉각 이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의환 홈플러스 전단채 피해자 비대위 집행위원장은 "MBK와 홈플러스의 무리한 차입경영과 매각 후 임차에 따른 이자비용 부담이 부메랑이 돼 위기를 자초했다"며 "투자자, 노동자, 입점업체와 정부에 책임을 떠넘기는 뻔뻔한 MBK에 더 이상 관용을 베풀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민병덕 의원은 "MBK의 2015년 홈플러스 인수 당시 약 6,600억원에 달하는 국민연금의 공적투자가 있었는데 공적자금이 투입됐기 때문에 더욱 엄중한 수사와 처벌이 필요하다"며 "국회 청문회를 실시해 MBK의 악질적 행태를 바로잡겠다"고 밝혔다.

뉴스웨이 신지훈 기자
gamja@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