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계 스테이블코인 강세와 원화 토큰 부진의 이면국내 인프라 취약, 빅테크 주도 생태계 구축 절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은행, 증권사, 빅테크 기업들이 스테이블코인 시장 진입
국내 블록체인 업계에 단독 기사와 화제가 이어짐
관심은 높지만 업계 현실은 녹록지 않음
2018년 이후 정부의 강경 규제로 시장 위축
정권 교체에도 블록체인 규제 기조 유지
한국은 아시아 블록체인 중심지 지위 상실
국내 인프라 취약, 외부 플레이어 진입에 취약
빅테크와 전통 금융권의 역할이 중요해짐
서클 등 해외 업체는 원화 스테이블코인에 소극적
국내 시장, 자체 생태계 육성 실패
해외는 실행 단계 진입, 한국은 규제 불확실성에 정체
단독 기사 쏟아져도 실질 변화 없으면 허탈감만 커질 전망
어쩌면 당국은 이대로 말랐으면 하는 입장이었는지도 모르겠다. 2018년 초 모든 디지털자산 거래소를 폐쇄하겠다는 깜짝 발언을 한 '박상기의 난' 이후 한국 시장은 그야말로 한치 앞을 알 수 없는 상황의 연속이었다.
그 사이 정권도 3번이 바뀌었다. 정권은 바뀌었지만 기조는 그대로였다. 그림자 규제는 이어졌고 '일단 스톱'이라는 압박이 연이어 업계에 전달됐다.
보이지 않는 규제 속에서 미국, 중국과 함께 블록체인 빅3였던 한국은 홀로 침체에 빠졌다. 매년 9월마다 한국은 아시아에서 싱가포르와 함께 가장 많은 인파가 몰렸으나 이제는 그 자리를 일본과 홍콩에 내주게 됐다.
이 때문에 뉴플레이어의 진입에 국내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는 것이다. 현재 남아 있는 인프라가 매우 취약한 가운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빅테크와 전통금융권의 참전이 필수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코인베이스가 거래소-메인넷-스테이블코인-실생활 결제를 통합하는 독자적인 생태계를 구축하는 동안 국내 블록체인 업계는 '큰형님'들의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게 됐다.
자체 생태계 육성에 실패한 데다 외부 플레이어의 진입에도 지극히 취약한 상황이다. 지난주 서클사의 하비 타버트 사장이 방문한 일정을 따라가는 기사들이 연이어 쏟아지는 것은 다시 말해 국내 산업이 그만큼 외부 압력에 취약하다는 뜻이기도 하다.
4대은행과 거래소를 순회한 서클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이미 미국 시장을 선점한 그들은 자신들의 스테이블코인 유에스디코인(USDC)에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서클의 선언에 안도하면서도 씁쓸함이 남아 있다. 어쩌면 국내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은 그들조차 매력적이지 않다는 것으로 들리는 탓이다.
네이버가 업비트와 손을 잡을 때 구글은 이미 자체 메인넷 출시 계획을 발표했다. 규제가 뚜렷하지 않은 상태에서 꿈만 꾸는 한국과 이미 실행 단계에 있는 해외의 간극은 초격차로 접어든 상황이다.
업권법이 나오는 전후로 블록체인 업계에서는 단독 기사가 연이어 쏟아질 전망이다. 하지만 앞으로도 내용이 없다면 허탈감만 늘어날 것 같다. 쏟아지는 특종이 공허하게 들리는 이유다.
관련기사
뉴스웨이 한종욱 기자
onebell@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