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예방책임 있는 금융기관에 배상책임 강화 발표국민은행, 보이스피싱 모니터링 인력 11명→25명 확대시중은행, AI 기반 모니터링 고도화···문진 제도 강화
4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 기존 진행 중이던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활동을 적극 보강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달 28일 '보이스피싱 근절 종합대책'을 발표하며 보이스피싱 피해가 발생시 금융기관 등 예방책임 있는 주체가 배상책임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금융회사 등 보이스피싱 예방에 책임있는 주체가 피해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배상할 수 있도록 법제화해 효과적인 범죄예방, 내실있는 피해구제가 이뤄지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정부는 보이스피싱 범죄 예방을 위해 금융사 내 인적·물적 설비를 충분히 갖추도록 의무화하고 금감원이 이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필요시 개선조치를 요구하는 체계를 갖춰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금융사도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전일 '보이스피싱 피해예방' 체계를 전면 강화하고 인적 시스템 강화, 보이스피싱 모니터링 시스템 고도화를 지속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8월 한 달 동안 사기계좌 1306건, 피해액 약 225억원을 예방했다.
KB국민은행은 지난달 기존 11명이던 보이스피싱 모니터링 인원을 25명까지 확대했다. 증원된 인원은 최근 피해가 급증하는 범죄 유형을 분석해 집중 탐지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AI를 기반으로 한 보이스피싱 모니터링 시스템 고도화도 지속한다. AI가 스스로 피해사례를 분석해 수상한 거래 패턴을 미리 찾아내고, 신속한 계좌 지급정지 등 예방조치를 할 수 있도록 기능을 강화하는 등 실질적인 피해 사전예방 효과를 높였다.
우리은행도 올해 보이스피싱 의심 해외계좌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최근 LG유플러스, 씽크폴과 제휴를 통해 예방 활동을 촘촘히 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올해 2월 경찰청, 금융보안원과 협력해 금융권 최초로 '보이스피싱 의심 해외계좌 관리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는 영업점 방문 고객이 보이스피싱 의심 해외계좌로 송금 요청을 하는 경우 시스템에서 '주의 팝업(Pop-Up) 메시지'를 직원에게 제공해 고객에게 보이스피싱의 위험성을 안내하는 방식이다.
우리은행은 금융사기 피해 예방으로 외부 감사장을 받은 직원들을 대상으로 내부에서도 은행장 시상식을 매달 진행한다. 수상자에게는 위비가드 명칭을 부여해 금융소비자보호 문화를 확산시키겠다는 방침이다. 이 외에도 우리WON뱅킹 내 사기피해 정보공유 서비스인 '더치트' 기능을 추가하고 사기계좌 등록 여부도 조회할 수 있도록 했다.
신한은행은 올해 1월 보이스피싱 이상거래 탐지 역량 강화를 위해 자체 개발한 AI 탐지모델을 보이스피싱 모니터링시스템 '안티-피싱 스마트 3.0'에 탑재했다. AI 탐지모델은 상반기 지속적인 사례 학습을 통해 전체 모니터링 탐지량의 1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의심거래 중 피해를 예방하는 정탐률이 상대적으로 우수해 연말까지 AI 활용 비중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신한은행은 올해 1월 시중은행 중 처음으로 '비대면 금융사고 책임분담' 모바일 신청 시스템을 오픈했다. '비대면 금융사고 책임분담'은 금융사기로 피해가 발생한 경우 은행권 자율배상을 통해 일정부분 책임을 분담할 수 있게 하는 제도다. 기존에는 피해 고객들의 신청 접수가 영업점 방문을 통해서만 가능했는데 모바일 시스템 오픈으로 고객 편의성이 크게 높아졌다.
하나은행은 원큐앱에 보이스피싱앱 탐지기능을 탑재했다. 이 경우 보이스피싱앱이 설치된 고객은 즉시 이체, 출금이 정지되며 알림발송, 유선연락, 영업점 대응까지 악성앱으로 인한 피해 예방이 가능하다. 이 기능을 탑재한 이후 원큐앱에 보이스피싱앱을 설치하고 피해금을 송금한 경우는 한 건도 없었고 월평균 1000명 이상의 피해를 예방하고 있다.
급증하고 있는 대면편취형 사기인 현금전달 피해유형은 고액 송금, 인출 시 문진제도를 강화해 완전히 속은 고객을 설득하고 이해시키는 데 큰 성과를 내고 있다. 기존 이체가 없었던 계좌로 스마트폰뱅킹, 인터넷뱅킹, 텔레뱅킹 시에도 피해예방 문진을 실시 중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과거부터 은행들이 보이스피싱 예방 활동을 적극 해왔으나 정부가 인적·물적 설비 강화를 강조한 만큼 내부적으로 논의가 되고 있다"면서 "조직 확충 등도 연말까지 꾸준히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이지숙 기자
jisuk618@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