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당국자는 24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 사전 브리핑에서 "우리는 가능한 한 빨리 한국과 무역 합의를 체결하기를 매우 열망하고 있다"며 "한국이 우리가 적절하다고 판단하는 조건을 수용하는 대로 가능한 한 신속히 마무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양국은 지난 7월 큰 틀에서 합의한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 세부 구성을 놓고 조율 중이다. 투자 항목과 집행 일정, 금융 지원 방식에서 이견이 남아 있어 29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최종 합의가 발표될지는 불투명하다.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지난 24일 국정감사에서 "매년 250억달러씩 8년간 총 2000억달러를 투자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며 "대미 투자 규모의 적정 수준을 두고 양측이 의견 차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나머지 1500억달러는 신용보증 등 금융 지원 형태로 추진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미국은 이번 협상을 무역을 넘어 산업 협력 강화의 계기로 보고 있다. 미 고위 당국자는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의 자본과 기술이 미국 제조업과 방위산업, 조선·잠수함 건조 재건에 기여하길 바란다"며 "이런 협력은 미국 내 고임금 일자리 창출과 산업 부흥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아시아 순방 기간 핵심광물 공급망과 첨단 제조, 방위산업 관련 합의도 추진할 계획이다. 26일부터 말레이시아, 일본, 한국 순으로 순방하며 29일 방한 기간 재계 인사들과 만찬, 이재명 대통령과의 양자 회담 일정을 소화한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비무장지대(DMZ) 방문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면담은 이번 일정에 포함되지 않았다. 미 당국자는 "변동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순방 마지막 일정으로 부산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갖고 무역, 러시아산 원유 거래, 희토류 수출 통제 등 주요 현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뉴스웨이 김다혜 기자
kdh0330@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