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문제는 그 부담이 고스란히 기존 입주민에게 전가되는 구조다. 이미 수억원을 들여 분양받은 아파트가 하루아침에 가치 하락을 겪으면서 입주민들의 분노가 거리로 표출되고 있다.
최근 아이에스동서가 시공한 '뉴시티 에일린의뜰 2차' 사례가 대표적이다. 입주 초기 "할인분양은 없다"고 약속했던 건설사가 미분양 잔여가구를 대상으로 잔금유예와 선납할인을 조건으로 재분양에 나서면서 기존 입주민들은 큰 손해를 봤다는 입장이다. 입주민들은 모델하우스 집회와 본사 앞 시위로 분노를 표출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부영, 반도, 아이에스동서 등 여러 건설사들은 '금융혜택'을 명목으로 분양가를 낮추면서 기존 계약자들은 자신들이 사기라도 당한 것처럼 느끼고 있다. 건설사의 경영적 필요와 기존 입주민의 권익이 충돌하는 지점에서 시장 신뢰가 점점 흔들리고 있는 셈이다.
해법은 분명하다. 기업도 살고 소비자도 보호받는 균형이 필요하다. 할인분양이 불가피하다면 그 이익의 일부라도 기존 입주민에게 돌아가야 한다. 잔여가구에 제공한 할인폭만큼 기존 계약자에게 특별 금융혜택이나 보상안을 제공하면 단기 유동성 확보와 소비자 신뢰 회복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양가 차액을 일정 기간 무이자로 환급하거나, 향후 단지 관리비 할인 또는 추가 혜택을 제공하는 방식이 가능하다.
기업 입장에서 보면 이러한 방식은 단기적인 수익 감소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보면 기존 입주민의 만족과 신뢰를 지키는 것이 브랜드 가치와 신규 분양시장 안정화에 직결된다. 소비자가 상실감을 느끼는 순간 할인분양으로 벌어들인 단기 이익은 장기적 손실로 되돌아올 가능성이 크다.
결국 핵심은 간단하다. 기업은 생존해야 하지만 소비자의 신뢰를 희생해서는 안 된다. 일시적인 할인으로 문제를 해결하더라도 소비자가 느끼는 불만과 분노가 지속된다면 시장 전체의 신뢰가 무너지고 이후 분양시장 활성화에도 큰 걸림돌이 된다.
기업과 소비자가 함께 살 수 있는 분양 전략, 이제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할인은 기업을 살리는 도구가 될 수 있지만 소비자 신뢰를 지키는 장치 없이는 단지 '일시적 탈출구'에 불과하다.
건설사는 스스로에게 물어야 한다. "누구의 희생으로 할인분양을 하고 있는가." 균형을 잡는 기업만이 장기적 성장과 시장 신뢰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뉴스웨이 이재성 기자
ljs@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