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위, IP금융 활성화로 생산적금융 대전환 이끈다

금융 금융일반

금융위, IP금융 활성화로 생산적금융 대전환 이끈다

등록 2025.11.20 14:00

박경보

  기자

AI·양자·바이오 등 첨단산업 성장에 IP금융 필요성 확대지역투자 모델·IP공시 강화 등 현장 중심 대안 제시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금융위원회는 20일 서울 영등포구 페어몬트 앰배서더에서 '제7회 지식재산(IP) 금융포럼'을 열고 첨단 기술 기업 자금 공급 확대를 위한 IP금융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금융위와 지식재산처는 최근 IP금융 기반 확충에 힘써왔고, 그 결과 국내 IP금융 규모는 잔액 기준 10조원을 넘어선 상태다.

이번 행사는 AI와 양자기술, 바이오 등 첨단산업의 성장 속도가 빨라지면서 생산적 금융의 역할이 중요해진 가운데 금융권과 평가기관·기업 등이 참여해 정책 방향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 : 지식재산(IP)금융의 역할'을 주제로 진행된 이날 포럼에는 목성호 지식재산처 차장, 신진창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을 비롯해, 은행, 투자기관, 보증기관, 발명 등의 평가기관 및 지식재산(IP) 금융에 관심 있는 기업 관계자 등 약 140명이 참석했다.

기조연설에서 박용린 자본시장연구원 부원장은 '생산적 금융의 시대, IP금융의 역할'을 주제로 IP금융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고, 이어 전문가들의 주제발표가 있었다. 주제발표 중에는 특히 지역 투자 활성화를 위한 '지역 거점 공공기관과 협업 IP투자 모델'에 대한 발표와, 기업 공시에 특허건수 등 단순 정량정보를 넘어 IP전략을 포함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한국형 IP공시 활성화 추진 전략'에 대한 발표가 눈길을 끌었다.

신진창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은 "한국경제의 고착화된 저성장과 양극화를 극복하기 위해 금융의 3대 대전환 비전의 한 축으로 생산적 금융 대전환을 추진하고 있다"며 "IP금융 활성화가 생산적금융 대전환을 위한 매우 중요한 과제이므로 관계기관과 함께 IP금융이 중요한 금융시스템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강조했다.

목성호 지식재산처 차장은 "지식재산 금융은 모두를 성장으로 이끄는 가장 생산적인 금융"이며 "지식재산이 금융과 결합되어 비즈니스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 확립을 위해 지식재산(IP) 금융 확대 및 고도화, 첨단산업과 연계된 지식재산(IP) 투자 등을 중점 추진하고 금융권, 평가기관 및 기업과 더욱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