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한화 대규모 기술 도입 가속화마스가 프로젝트로 업계 전략 급변자동화·디지털 전환, 글로벌 경쟁력 강화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국내 조선업계에 AI 도입 바람
HD현대, 한화 등 대규모 투자 발표
생산성·수익성 향상 목표
한미 관세·안보 협상 타결로 미국 MASGA 프로젝트 가속
미국과 공동 건조·기술 협력, MRO 사업 확대 필요성 대두
국내 조선사들 스마트 조선소 전환 경쟁 본격화
삼성중공업, 설계 자동화 플랫폼 S-EDP 공개
HD한국조선해양, 지능형 자율운영 조선소 구축 추진
한화오션, 스마트 야드 및 북미 MRO 시장 진출 시도
중국 등 경쟁국 기술 추격 심화
AI·스마트화 속도에 따라 조선업 경쟁력 좌우될 전망
조선업계, 기술 혁신 통해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 시도
시장에서는 한미 관세·안보 협상 결과가 담긴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가 최종 확정되면서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의 실행 속도가 빨라지자, 국내 조선업계의 투자 전략도 새로운 국면에 들어섰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미국 공동 건조·기술 협력은 물론 MRO(정비·유지·보수) 사업 확대에 대응하기 위한 국내 생산 기반의 고도화가 산업 전반의 핵심 과제로 급부상했기 때문이다. 국내 조선업계도 AI와 로봇을 앞세운 '스마트 조선소' 전환 경쟁에 돌입한 모양새다.
지난달 삼성중공업은 '오토 투 비전' 행사를 열고 설계 자동화 플랫폼 'S-EDP'를 공개했다. S-EDP는 조선·해양 설계 데이터를 디지털화해 자동 저장 및 공유하는 플랫폼이다.
삼성중공업은 S-EDP를 기반으로 설계 자동화율을 2030년까지 두 배 이상으로 높이고, 설계·구매·생산 전 과정을 하나의 데이터 체계로 연결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을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HD한국조선해양은 '미래 첨단 조선소(FOS)' 프로젝트를 통해 단계적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가상의 조선소 생산 공정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눈에 보이는 조선소' 구축을 완료한 뒤, 현재는 AI 분석을 통한 예측 및 최적화 기능을 더해 2030년까지 '지능형 자율운영 조선소'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화오션도 거제조선소에 약 3000억원을 투입해 스마트 야드를 구축하고 있다. 드론·사물인터넷(IoT) 센서를 활용해 공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용접·가공 로봇을 투입해 생산 자동화율 70%를 달성한다는 방침이다. 한화오션은 미국 필리조선소에도 스마트 야드 기술을 적용해 북미 선박 유지·보수·정비(MRO) 시장에 진출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AI 투자는 단순한 비용이 아니라 수주 경쟁력을 좌우하는 '생존 전략'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HD현대는 최근 HD한국조선해양 내 AI 전담 조직을 인공지능 전환(AIX) 추진실로 재편하고, 김형관 사장이 직접 총괄하는 체제로 편제를 변경하는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정 회장은 조선·건설기계·에너지·로봇 등 그룹 전 사업 분야에 AI 기술을 확대·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전날(20일)엔 경기도 판교 HD현대 글로벌R&D센터에서 열린 '조선·해양 산업 AI 기술 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식에서 "중국 기업들의 기술 경쟁력이 한국을 빠르게 따라오고 있다"며 위기감을 숨기지 않았다.
그러면서 "AI를 기존 산업 현장에 빠르고 정밀하게 적용해 제조업 원가를 낮추고 선박 연비를 개선하는 등 실질적인 성과를 조속히 만들어내야 한다"며 "현장의 문제를 AI로 해결하고 눈에 보이는 경쟁력을 만들어내는 속도에서 우리가 앞서가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그만큼 HD현대는 AI 기술에 진심이라고 할 수 있다"면서 "현장의 문제를 AI로 해결하고 눈에 보이는 경쟁력을 만들어내는 속도에서 우리가 앞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김다정 기자
ddang@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