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사업 매출 성장 불구 저효율성 고착화헬스케어 부문 적자·부채 불균형 구조 지속연결 실적 위험, 사업 재정비 목소리 커져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클리오 재팬 3분기 누적 매출 199억원, 전년 동기 대비 약 3배 증가
동기간 순손실 9억7000만원 기록
헬스케어 자회사 매출 46억원, 순손실 5억8000만원
중국 법인 순이익 10억원, 자산 13억원·부채 84억원
일본 법인 매출 증가에도 인력·물류비 등 비용 급증으로 수익성 악화
헬스케어 자회사 부채가 자산의 3배 넘어 재무 부담 심화
중국 법인 흑자에도 고레버리지 구조 지속
해외 및 비주력 사업이 그룹 전체 수익성 변동성 키움
본사 실적을 해외·비주력 사업 손실이 잠식하는 구조 강화
포트폴리오 재정비와 재무 건전성 확보 필요성 대두
해외 사업 확장과 헬스케어 부문 성장 전략 병행 중
헬스케어 자회사 '클리오라이프케어' 역시 적자 폭은 다소 줄었으나 재무 부담은 오히려 커졌다. 회사는 올해 3분기 46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지만 5억8000만원의 순손실을 냈다. 자산이 23억원에 불과한 반면 부채가 76억원으로 불어나며 부채가 자산의 세 배를 넘어섰다. 사실상 본사의 지원 없이는 정상적 사업 운영이 어려운 구조라는 평가가 따른다.
중국 상해 법인은 매출 감소에도 10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흑자를 유지했다. 다만 자산 13억원, 부채 84억원의 '고레버리지' 구조가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점은 잠재 리스크로 지목된다. 해외 법인의 재무 건전성이 국내 본업과 달리 취약해 그룹 전체의 수익성 변동 폭을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클리오가 색조 시장에서 확고한 브랜드 경쟁력을 확보한 것은 사실이지만, 일본과 헬스케어 부문의 손실이 본사 실적을 잠식하는 구조가 강화됐다"며 "해외·비주력 사업에 대한 포트폴리오 재정비가 불가피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클리오는 "중국·일본·북미·동남아 등으로 해외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며 "헬스케어 부문도 포트폴리오 및 판매 채널 확대를 통해 성장 기반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뉴스웨이 양미정 기자
certai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