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는 최근 핵융합 에너지 연구역량 강화와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제2차 핵융합에너지개발 진흥 기본계획 2013년 시행계획’을 확정·발표했다.
이에 따라 미래부는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공동개발사업 △초전도 핵융합연구장치(KSTAR) 연구 △핵융합 기초연구와 인력양성 △핵융합연구소 기관 수행사업 등 4개 사업을 중심으로 총 1516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미래부는 우선 과학적 공학적 실증을 위해 한국, EU 등 7개국이 참여하는 핵융합 실험인 ITER 사업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진단장치 등 우리나라가 담당하는 주요 장치의 제작을 수행하고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에 필요한 핵심기술 개발을 병행해 나갈 계획이다.
국내 산업체를 중심으로 형성된 핵융합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정부 지원도 강화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국가 핵융합연구소와 핵융합 연구개발 과정에서 축적된 파생기술 등을 중소기업에 이전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 상생 한마당’과 같은 장을 마련할 예정이다.
아울러 핵융합연구소의 우수 연구성과 확산을 위한 전담조직(TLO)의 역할을 강화하고 지식 정보의 산업체 공유를 위한 ‘핵융합 지식정보시스템’을 구축할 방침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국내 산업체의 핵융합 연구개발 참여를 확대하고 참여 기업의 기술역량 강화와 고용 창출을 위해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은경 기자 cr21@
뉴스웨이 김은경 기자
cr21@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