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ICT 수출 8개월째 마이너스

ICT 수출 8개월째 마이너스

등록 2016.06.12 11:00

현상철

  기자

공유

5월 ICT 수출 9.9% 감소···수입은 2.4% 증가휴대폰·반도체·DP 부문 전체 수출감소액 96% 차지

표 = 산업부 제공표 = 산업부 제공

5월 휴대폰·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정보통신기술(ICT) 주력품목의 수출이 급감하면서 ICT 수출이 8개월 연속 뒷걸음질 쳤다. 이들 세 부문이 전체 수출 감소액의 96%를 차지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2일 5월 ICT 수출은 131억30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9.9% 감소했다고 밝혔다. ICT 수출은 지난해 10월(-1.6%) 이후 8개월 동안 마이너스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 ICT 수출부진은 휴대폰·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주력품목이 급감한 영향을 크게 받았다. 세 부문의 5월 수출감소액은 총 13억9000만 달러로 전체 수출감소액(14억5000만 달러)의 95.8%에 이른다.

휴대폰(부분품 포함) 수출은 16.6% 감소한 22억9000만 달러다. 2월(13.2%) 이후 3개월 연속 두 자릿수 수출증가세를 보이던 완제품 수출이 5월 들어 26.5%나 급락했다. 상반기 전략 스마트폰 조기 출시에 따른 기저효과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휴대폰 수출의 60~70% 가량을 차지하는 부분품 수출은 올해 1월부터 5개월째 마이너스다.

8개월 연속 마이너스 수출을 이어가고 있는 반도체는 전년 동월대비 4.4% 감소한 48억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시스템반도체 수요 부진에도 불구하고 메모리반도체 수출 증가로 감소세가 전달(-11.8%)보다 감소했다.

디스플레이 수출은 지난해보다 24.7% 감소했다. 지난해 8월(-7.6%) 이후 10개월 연속 뒷걸음질 중이다. 패널 수요 감소와 중국발 공급과잉에 따른 단가하락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반면 OLED는 지난해보다 30.4% 증가한 5억3000만 달러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역별로 보면 전체 ICT 수출액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홍콩 포함)에 대한 수출은 12.4% 감소한 67억8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지난해보다 수출액이 9억6000만 달러나 줄었다. 중국 업체의 기술 향상, 국내 업체의 현지 생산 증가 등으로 반도체(-5.3%), 디스플레이(-26%) 등 부분품을 중심으로 감소했다.

대(對)홍콩 수출은 지난해 3월(13.9%) 이후 올해 4월(-0.1%)을 제외하고 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대(對)중국 수출은 지난해 12월(-21.9%) 이후 반년 동안 수출이 두 자릿수로 감소하고 있다.

미국(8.5%), 베트남(17.5%) 수출은 증가했지만 EU(-7.1%), 중남미(-16.8%), 일본(-42.4%) 등은 감소했다.

5월 ICT 수입은 70억5000만 달러로 2.4% 늘었고, 무역수지는 60억8000만 달러 흑자로 잠정 집계됐다.

세종=현상철 기자 hsc329@

뉴스웨이 현상철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