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2일 목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대통령 파면 한국경제, 북한·트럼프·EU해체·사드·가계빚 5대 위험"

"대통령 파면 한국경제, 북한·트럼프·EU해체·사드·가계빚 5대 위험"

등록 2017.03.12 14:51

김성배

  기자

공유

12일 현대경제연구월 발표

사진=최신혜 기자 shchoi@newsway.co.kr사진=최신혜 기자 shchoi@newsway.co.kr

박근혜 대통령이 파면되면서 정치리스크가 완화됐지만, 정권 공백기·대선정국 진입 등 정치 이슈와 그밖의 다른 위험들도 한국 경제를 위협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2일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정치리스크의 상존과 스톰 - 헌재 탄핵 판결 이후 한국경제의 5대 리스크’ 보고서에 따르면 △남북관계 경색 등 지정학적 문제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유럽연합(EU) 붕괴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의 보복 △가계부채 등이 5대 리스크로 꼽혔다.

남북 관계 경색의 경우 핵실험·미사일 발사 등 북한 도발로 장기화하고 있다. 이 같은 지정학적 리스크 장기화로 한국경제 안전성 관련 신인도가 떨어지고 국내 금융시장 불안 및 한국과의 교역·투자에 대한 신뢰성 하락이 우려된다.

또 미국 우선주의 및 보호무역주의에 따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폐기되면 2020년까지 대미수출 손실액은 약 130억10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고용은 약 12만7000명 줄어들 것으로 추정됐다.

영국에 이어 다른 유럽국가들도 EU 탈퇴시 EU 시스템이 붕괴하면서 세계 경제가 위기에 빠질 수 있다. EU 붕괴는 세계 경제 위기와 한국경제의 수출 불황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최근 잇따른 중국의 경제보복이 △한국산 중간재 수입제한 △자국민의 한국관광 전면 금지 △한중 FTA 폐기 등으로 확산하면 중국 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큰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

또 금리 상승으로 가계부채에 문제가 발생하면 금융시장이 불안해지고 내수는 더 침체될 가능성이 높다.

현대경제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지금부터라도 우리의 주된 관심이 정치적 이슈에서 벗어나 경제적 이슈로 집중되는 것이 필요하다”며 “특히 5대 리스크 요인들 중 대부분이 해외요인들이기 때문에 정부는 대외 리스크가 국내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을 차단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