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대한항공, 지난해 당기순이익 9079억···사상 최대 실적 달성

대한항공, 지난해 당기순이익 9079억···사상 최대 실적 달성

등록 2018.02.08 19:22

임주희

  기자

공유

매출액 11조8028억원·영업익 9562억원 집계

사진=대한항공 제공사진=대한항공 제공

대한항공은 8일 지난해 별도기준 당기순이익이 9079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고 밝혔다. 당기순이익만 두고보면 사상 최대 실적이다.

같은기간 매출액은 11조8028억원으로 전년 대비 3%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9562억원, 영업이익률은 8.1%를 달성했다.

별도기준 부채비율은 지난해 3월 유상증자와 6월 영구채 발행을 통한 자본확충으로 2016년 1274%에서 지난해 말 542%로 하락했다.

4분기의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5.1% 증가한 3조148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31.8% 증가한 2308억원을 달성했다. 당기순이익은 외화환산차익 등으로 4791억원이 발생했다.

사업별로 살펴보면 여객사업은 유가 상승 및 사드 영향에도 불구하고 탄력적인 공급조절 및 한국발 해외여행 수요 증가로 매출이 증가했다. 동남아노선 10%, 구주노선 8%, 대양주노선 4%, 미주노선 4% 등 수송실적(RPK, Revenue Passenger Kilometer)이 증가했다. 특히 전체 수송객은 한국발 승객의 장가로 5% 늘었다. 하지만 사드 및 북핵 영향으로 중국과 일본 노선은 수송이 다소 감소했다.

화물사업 또한 반도체 물량을 중심으로 실적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는 셜멍이다. 글로벌 경기 상승세에 따른 반도체 관련 물량, 전자상거래 등의 수요 증가에 따라, 대양주 32%, 일본 17%, 미주 3%, 구주 3%, 동남아 2% 등 전 노선에 걸쳐 수송실적(FTK, Freight Ton Kilometer)이 늘었다. 또한 해외발 화물 수송 증가로 5% 증가해 항공운송사업은 영업이익 8771억원(영업이익률 8.14%)으로 전기 대비 323억원 늘었다.

대한항공은 “올해는 평창올림픽, 사드 이슈 완료, 반도체 수요 증가로 여객 및 화물사업 공히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며 “델타항공과의 태평양노선 조인트벤처,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개장 등 고객 서비스 강화 및 수익성 중심의 효율적 사업 운영으로 영업실적 개선추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특히 여객 부문의 경우 중국 및 일본 노선 등에 대한 탄력적 공급 운영을 통해 수익 극대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 나갈 계획이다.

화물 부문의 경우 글로벌 경기 호조 및 아시아지역의 IT 화물 수요 증가 등 긍정적 항공화물 시장 분위기에 따라, 화물 대상 품목을 확대하는 한편 탄력적 공급 운영을 통해 지속 가능한 흑자 기조를 유지할 예정이다.

이와함께 대한항공은 2014년 이후 지속되는 영업실적 호조 및 개선 추세와 재무구조 개선을 바탕으로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보통주 액면가 기준 5% 현금 배당을 결의했다 이는 2011년 이후 7년만의 배당이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