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서울시 '따릉이' 회원 62만 돌파··· 출‧퇴근시간 38% 집중

서울시 '따릉이' 회원 62만 돌파··· 출‧퇴근시간 38% 집중

등록 2018.03.20 23:48

주성남

  기자

공유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가 서비스 시작 2년 반 만에 회원 수 62만 명(2018.3월 기준)을 돌파했다. 10만 명 돌파까지 11개월(2015.9.~2016.8.)이 걸렸던 것과 비교하면 가파른 증가세다. 하루 평균 이용건수도 작년 같은 기간 대비 2배 이상 증가(2017.3. 4,800명→2018.3. 1만1,300명)했으며 특히 하루 중 출‧퇴근 시간대(오전 6시~9시, 오후6시~9시 평일 기준)에 38%가 집중됐다. 시간대별로는 퇴근시간대가 25%로 이용자수가 가장 많았다.

서울시설공단(이사장 이지윤)은 작년 한 해 `따릉이` 운영 빅데이터를 분석해 20일 발표했다.

시간대별로 보면 일 평균 이용건수는 평일(1만3,301건)이 휴일(1만2,584건)보다 많았다. 평일 기준으로 이용건수가 가장 많은 시간대는 오후 6시~9시로 전체의 약 25%(3,310건)를 차지했다.

월별로는 9월(16%, 88만9,877건)이 가장 많았고 10월(16%, 86만3,105건), 8월(10%, 54만559건), 6월(10%, 53만6,707건)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자치구)별로 보면 ‘따릉이’를 가장 많이 이용한 지역은 마포구(16%, 78만1,594건)였다. 이어 영등포구(13%, 65만3,789건), 종로구(10%, 48만7,342건), 성동구(7%, 37만7,068건), 서대문구(6%, 31만396건) 순이었다.

연령대별‧성별로는 20~40대가 전체의 85%였으며 50대 이상 이용자는 2016년 6%에서 작년 8%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남‧녀 이용비율은 남성이 63%, 여성이 37%로 나타났다.

이지윤 서울시설공단 이사장은 “따릉이 2만대 시대를 맞아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활용해 효율적인 자전거 재배치 및 적정 대여소 운영체계를 단계적으로 구축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시민 여러분들이 따릉이를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주성남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