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삼성전자 실적 ‘선봉’ 김기남 사장···부회장 승진설 모락모락

삼성전자 실적 ‘선봉’ 김기남 사장···부회장 승진설 모락모락

등록 2018.12.05 14:50

임정혁

  기자

공유

반도체 수장 상징성에 승진 가능성 조심스럽게 거론영업이익 77% 비중 실적···성과주의 적용 관심 UP사내 부회장급 3명뿐···DS부문 대규모 승진설 나돌아

김기남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장. 사진=최신혜 기자 shchoi@newsway.co.kr김기남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장. 사진=최신혜 기자 shchoi@newsway.co.kr

삼성전자 사장단 인사 발표가 초읽기에 들어간 상황에서 김기남(60) 디바이스 솔루션(DS) 사장의 부회장 승진설이 흘러나오고 있다. 사상 최대 실적을 올린 반도체 사업부문 격려 차원에서 사장급인 김 부문장이 부회장으로 올라설 것이란 해석이다. 재계에서는 삼성전자가 변화보다는 안정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점을 감안, 김 부문장을 비롯한 ‘성과주의’ 인사 기준이 어디까지 적용될지도 초미의 관심사다.

5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인사는 당초 5일에서 하루 늦춰진 6일이 될 것이라는 예상에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다만 지난해 인사발표가 알려진 것과 달리 일주일 이상 연기한 점 등으로 올해 인사 역시 정확한 날짜를 가늠할 수 없는 상황이다.

삼성전자 인사에서 가장 관심을 끄는 것은 김기남 사장의 부회장 승진설이다. 이같은 관측은 삼성전자의 실적을 견인한 반도체 부문의 실적 때문이다. 삼성그룹의 성과주의 원칙을 적용한다면 김 사장의 승진 가능성이 높다는 해석이다. 영업이익 비중의 3분의 2에 달하는 실적을 올린 반도체 부문의 수장인 김 사장에 대한 인센티브 성격으로 승진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는 의미다. 실제 삼성전자는 올해 3분기 DS부문은 14조560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이는 삼성전자 전체 영업이익 17조5700억원 중 77%에 달하는 실적이다.

삼성전자 부회장이 현업으로 정의할 수 없는 3명 뿐이라는 점도 김 부문장의 승진을 예상하는 목소리에 설득력을 더하고 있다. 현재 삼성전자에서 부회장 직급은 이재용 부회장과 윤부근(CR담당) 부회장, 신종균(인재개발담당) 부회장이다.

삼성전자 안팎에서는 김 사장이 사실상 ‘유임’ 이상의 승인을 받았다는 얘기도 나돌고 있다. 대표이사 교체를 위해선 이사회 승인 후 주주총회를 거쳐야 하는데 인사 전 마지막으로 열린 지난달 30일 삼성전자 이사회에선 관련 논의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 사장장이 권오현 회장의 뒤를 잇는 반도체 전문가로 꼽히는 점도 승진 가능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김 부문장은 올해 초 사업전략을 밝히면서 “반도체는 기술 장벽이 높아 대규모 투자만으로 (중국과) 기술 격차가 쉽게 축소될 것으로 보지 않는다”면서 “반도체와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부품 시장은 사물인터넷과 전장 등 응용처 확대에 따라 고부가 제품의 수요가 증가 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재계 관계자는 “실적을 견인한 DS부문에서 대규모 승진이 이뤄질 것이란 얘기가 파다하다”며 “김 사장의 승진 얘기가 나오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전했다.

뉴스웨이 임정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