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신동빈 회장, 글로벌 현장돌며 중단됐던 해외 사업 투자 재개

신동빈 회장, 글로벌 현장돌며 중단됐던 해외 사업 투자 재개

등록 2018.12.07 10:20

이지영

  기자

공유

인니 대규모 유화단지 기공식 참석···유화부문 투자 본격화

롯데가 선고공판. 사진=최신혜 shchoi@newsway.co.kr롯데가 선고공판. 사진=최신혜 shchoi@newsway.co.kr

롯데그룹 회장이 글로벌 사업현장을 직접 돌며 점검에 나섰다.
일본과 베트남 출장에 이어 이번엔 인도네시아 자바 반텐주에서 개최되는 대규모 유화단지 기공식에 참석한다. 그 동안 신 회장의 부재로 중단됐던 글로벌 사업에 대한 투자들이 이번 해외출장을 계기로 재개될 전망이다.

신 회장은 지난 3일 출국해 베트남 하노이와 호치민을 방문했으며 지난 6일에는 인도네시아로 넘어와 현지 사업 현황을 점검했다.

기공식에는 인도네시아 아이르랑가(Airlangga) 산업부 장관, 토마스(Thomas) 투자청장 등 인도네시아 정부 관계자들을 비롯해 롯데 화학BU 허수영부회장, 롯데케미칼김교현대표 등 500여 명이 참석했다.

신동빈 회장은 “이번 프로젝트를 계기로 인도네시아에 대한 투자를 적극 확대할 뿐 아니라 인도네시아와 함께 성장하기 위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며, “롯데와 인도네시아는 서로의 잠재력을 키워줄 수 있는 좋은 친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롯데는롯데케미칼타이탄을 통해 인도네시아 국영 철강회사인크라카타우스틸(Krakatau Steel)로부터 약 47만㎡ 면적의 부지사용권한을 매입했으며,지난해 2월 토지 등기 이전을 완료했다. 롯데는 이번 기공식을 계기로 본격적인 공사에 착수, 이 곳에 납사크래커와 하류부문 공장 등 대규모 유화단지를 건설해 2023년부터 상업생산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기본 설계를 마친 상태로, 내년 중 건설사 및 대주단과의 협상을 완료할 예정이다.

신규 유화단지가 완공되면 롯데의 화학부문은 거대 시장을 선점하고 동남아 시장에서의 지배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롯데첨단소재 역시 이 지역의 ABS 생산업체 인수 및 신규 공장 투자를 검토하고 있어, 인도네시아는 롯데 화학부문의 주요 해외 거점으로 도약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이번 인도네시아 유화단지 건설을 이끌며 롯데 글로벌 화학사업의 첨병 역할을 하고 있는 롯데케미칼타이탄은2010년 롯데케미칼에 약 1.5조원에 인수된 이후 약 7년 만인 지난 2017년 기업 가치를 2.5배 이상 높여 말레이시아 증시에 상장하는 성과를 이뤘다.

롯데는 2008년 롯데마트를 통해 인도네시아에 첫 진출했으며, 현재 롯데백화점, 롯데케미칼, 롯데지알에스, 롯데컬처웍스 등 10여개 계열사, 9천여명의 직원들이 일하며 활발하게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신 회장은 ‘한-인니 동반자협의회’의 경제계 의장직을 맡아 민간차원에서 양국 경제계간 투자 및 협력 강화에 앞장서며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가교 역할을 해왔다.

최근에는 정부의 新남방정책에 맞춰 투자를 더욱 확대하고, 양국의 관계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분야로 그 영역을 넓히고 있다. 지난해 현지 법인을 설립한 롯데컬처웍스는 올해 11월 자카르타에 첫 롯데시네마를 개관했다. 롯데자산개발은 인도네시아 부동산 개발 및 사회기반시설 확충 사업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롯데액셀러레이터는인도네시아 정보통신부, 암베신도(AMVESINDO)와 MOU를 체결하고,양국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 및 인도네시아 우수 스타트업 발굴을 위해 상호 협력하고 있다.

뉴스웨이 이지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