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주52시간 근무제 도입 1년···일자리 창출 효과 ‘미미’

주52시간 근무제 도입 1년···일자리 창출 효과 ‘미미’

등록 2019.08.25 10:21

이한울

  기자

공유

사진=연합뉴스 제공사진=연합뉴스 제공

주 52시간 근무제를 적용한 기업들의 첫해 '일자리 창출' 성적이 부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매출 기준 500대 기업 가운데 지난해 7월부터 주 52시간 근무제가 적용된 181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올 6월 말 현재 총 84만1832명이 고용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시점(82만7098명)에 비해 1.78%(1만4734명) 늘어난 것이다.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되지 않았던 2017년 6월 말 이후 1년간 증가율(1.67%)과 큰 차이가 없는 수치다.

주 52시간제가 적용되지 않았던 300인 미만 사업장 및 특례업종에 속한 기업 110곳의 경우 지난해 6월 말(29만1904명) 이후 1년 만에 고용이 1.98%(5781명)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증가폭이 더 낮았던 셈이다.

CEO스코어는 "정부가 일자리 창출과 근로자 노동환경 개선 등을 명목으로 주 52시간 근무제를 추진했지만 당장 눈에 띄는 고용 효과는 없었던 것으로 풀이된다"고 밝혔다.

기업별로는 LG전자가 1년 새 3296명(8.8%)이나 늘어 1위였다. 지난 5월 전국 130여개 서비스센터에서 근무하는 협력사 직원 약 3900명을 직접 고용한 게 결정적인 요인이었다.

삼성전자(3091명·3.0%)와 SK하이닉스(20607명·10.4%)가 그 뒤를 이었고, LG화학(2029명·11.5%)과 CJ제일제당(1159명· 17.4%), 기아자동차(1050명·3.0%) 등도 1000명 이상 늘었다.

업종별로는 IT·전기전자(16개사)가 24만4966명에서 25만175명으로, 5209명(2.13%) 늘어 가장 성적이 좋았다. 석유화학(24개사)은 3640명(6.74%), 자동차·부품(23개사)은 2188명(1.41%) 증가했다.

반면 건설·건자재(27개사)는 7만685명에서 6만9천178명으로, 오히려 1천507명(2.13%) 줄어 전체 13개 업종 중 유일한 고용 감소를 기록했다.

뉴스웨이 이한울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