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SK그룹, 이번주 ‘CEO 세미나’ 끝나면···연말인사 방향 정한다

SK그룹, 이번주 ‘CEO 세미나’ 끝나면···연말인사 방향 정한다

등록 2021.10.18 16:07

김정훈

  기자

공유

최태원 회장, 20~22일 내년 경영환경 전략 논의인사 앞두고 계열사 ‘파이낸셜 스토리’ 점검 초점CEO 평가 방안 등 사외이사·경영진 워크숍 잇달아 내달 그룹 인사 범위 결정···12월초 정기 인사 앞둬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2일 경기 이천시 SKMS연구소에서 열린 2021 확대경영회의에서 마무리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SK 제공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2일 경기 이천시 SKMS연구소에서 열린 2021 확대경영회의에서 마무리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SK 제공

SK그룹이 오는 20일부터 사흘간 경기도 이천 SKMS연구소에서 ‘CEO 세미나’를 열고 내년도 경영환경 전략을 논의한다. 재계에선 최태원 회장과 주요 경영진들이 CEO 세미나를 끝내면 12월 초 정기인사를 앞두고 계열사별 임원 승진자 등 인사 범위를 정할 것으로 보고 있다.

18일 재계에 따르면 SK그룹의 올 하반기 CEO 세미나는 최태원 회장과 최재원 SK 수석부회장, 최창원 SK디스커버리 부회장, 조대식 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등 주요 관계사 CEO 30여 명이 참석해 ‘파이낸셜스토리’ 점검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상된다.

SK그룹은 최 회장이 지난해 10월 열린 CEO 세미나에서 파이낸셜스토리를 새로운 경영 화두로 제시하면서 올해는 각 계열사마다 실행에 옮기는 계획을 발표했다.

파이낸셜스토리는 회사의 매출·영업이익 등 재무 성과에 국한된 기존의 기업가치 평가 방식을 뛰어넘는 구체적인 목표와 실행 계획이 담긴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기업가치를 높이는 SK의 성장 전략 방식을 뜻한다.

SK그룹은 이번 CEO 세미나에서 최 회장이 강조하고 있는 파이낸셜스토리와 지배구조 혁신을 담은 거버넌스스토리 등에 대한 더 진전된 토론을 펼칠 거란 재계 관측도 제기된다. 최근 주요 계열사별로 파이낸셜스토리 관련 조 단위의 대규모 투자가 공개됐고, 또 올 연말부터 CEO에 대한 평가와 보상을 각 관계사 이사회에서 결정하는 이사회경영 강화 계획도 공개했기 때문이다.

SK는 매년 두 차례 그룹사 경영진이 참여하는 연례 회의를 갖는데, 하반기 CEO 세미나는 내년 경영 목표와 성장 투자 등을 결정하는 성격을 띈다. 상반기엔 지난 6월 '탄소중립 조기 추진' 내용을 담은 확대경영회의를 가진 바 있다.

최 회장이 경제계 대표 단체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직을 겸직하는 가운데, 2022년을 앞두고 어떤 경영 화두를 던질지도 관심을 끈다. 최 회장은 딥체인지(근본적 변화), 사회적 가치, 행복경영, ESG 경영 등 매번 재계 총수들 중에 새로운 경영 메시지를 내놓으면서 주목받아왔다.

SK그룹 관계자는 “(최태원 회장) 클로징 메시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확인이 어렵다”고 말했다.

재계에선 SK그룹이 CEO 세미나를 끝내면 각 사별로 인사 폭과 방향을 결정할 것으로 예상한다. SK는 통상적으로 10월에 계열사별로 임원 성과를 평가한다.

SK는 CEO 평가 및 연임 여부 결정 권한을 이사회에 부여하기로 하고 관련 작업을 추진 중이다. 특히 SK㈜, SK이노베이션 등 주요 관계사는 6·7월에 이어 이달에도 사외이사진 워크숍을 열어 CEO 평가 방안을 포함한 지배구조 전반에 대한 혁신 방안을 논의했다.

최 회장은 거버넌스스토리 워크숍 강연에서 “우리의 목표는 거버넌스 지향점을 보다 분명하고 구체적으로 실행을 좀더 옮겨서 외부로부터 이것을 인정을 받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뿐 아니라 SK는 각 사별 파이낸셜스토리 투자 전략이 한창이다. 배터리 회사 SK온과 석유개발회사 SK어스온을 분사시킨 SK이노베이션은 5년간 30조원 투자 계획을 내놨다.

SK㈜는 그린(에너지)·첨단소재·바이오·디지털 4대 핵심사업 중 대체에너지 등의 그린 사업에 14조4천억원을 투입하는 중장기 성장 전략을 제시했다.

세계 1위 수소사업자를 목표로 하는 SK E&S는 향후 5년간 18조원을 투자해 생산·유통·공급에 이르는 수소 밸류체인 구축에 나서기로 했다.

지난달 SKC는 2025년 배터리 사업 매출을 지금의 10배인 4조원 규모로 확대하는 성장 비전을 공개했다.

재계 한 관계자는 “최태원 회장이 파이낸셜스토리를 CEO를 평가할 때 참고하겠다고 밝힌 이후 SK 계열사들의 사업구조 변화 노력이 눈에 띈다"며 "이를 토대로 평가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김정훈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