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4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증권 블록딜 사전 공시, 시장 투명성 강화에 개미들 웃을까

증권 종목

블록딜 사전 공시, 시장 투명성 강화에 개미들 웃을까

등록 2024.06.27 07:30

김세연

  기자

공유

내달 24일 블록딜 사전 공시 의무제 도입···시장 투명성 강화투자자 보호 차원···규제 도입 전 기업들 잇따라 블록딜 시행CB규제와 비슷한 흐름···기업 '꼼수' 가능성에 제도 변질 우려도

그래픽 = 박혜수 기자그래픽 = 박혜수 기자

다음 달 도입되는 '블록딜(시간외대량매매) 사전 공시 제도'를 통해 시장 투명성이 강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에 그간 블록딜에 피해를 받아왔던 개인투자자들이 대량 물량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는 평가다. 다만 해당 제도 허점을 이용한 기업들의 꼼수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어 제도가 도입 취지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갈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2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최근 3개월간(지난 3월25일~6월25일) 국내 증시에서 총 22개 상장사가 블록딜을 시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행 기업들은 지난달 상장한 노브랜드를 비롯해 마녀공장, 엔켐, 티움바이오, HD현대중공업, 대원전선 등이다. 이들 주가는 블록딜 공시일 기준 최대 16% 하락률을 보였다.

특히 대원전선은 총 3차례나 블록딜을 했다. 지난 4월16일 최대 주주인 갑도물산은 유동성 확보 차원으로 160만주를 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했다고 공시했다. 공시 당일 주가는 전 영업일 대비 10.41% 하락했다.

인공지능(AI) 열풍으로 전선주가 수혜를 받으면서 대원전선 주가도 치솟자 지난달 8일에는 120만주, 17일에는 보통주 147만6091주를 국내외 기관에 매도했다. 공시 이후 주가는 각각 2.88%, 10.69% 떨어졌다.

같은 달 24일 SK이터닉스의 2대 주주인 사모펀드 한앤코컴퍼니가 장 개시 전 시간외매매를 통해 SK이터닉스 주식 252만주를 매각했다. 전체 발행 주식의 9% 달하는 물량으로 주당 매매가격은 23일 종가 3만600원에서 10.3% 할인된 2만7448원이다. 24일 SK이터닉스는 전 영업일 대비 7.35% 하락한 2만8350원에 장을 마감했다.

가장 큰 하락률을 보인 에코프로머티 주가는 이달 14일 벤처캐피털 BRV캐피탈매니지먼트가 에코프로머티 주식 210만주를 블록딜로 매각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16% 급락했다. 앞서 지난달 21일에도 장 전 에코프로머티 주식 220만주를 블록딜로 처분해 에코프로머티 주가가 12% 넘게 하락한 바 있다.

지난 24일에는 우리프라이빗에쿼티(PE) 등 엔켐 재무적 투자자(FI)가 보유한 엔켐 지분 1900억원어치를 시간 외 대량매매(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한다고 밝혔다. 엔켐 주가는 공시 당일 11.28% 하락했고, 블록딜 여파로 지난 26일에도 5.93% 떨어졌다. 이 밖에도 이달에만 지난달 상장한 노브랜드를 비롯해 총 6개 기업이 블록딜을 진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래픽 = 이찬희 기자그래픽 = 이찬희 기자

이처럼 기업들이 잇따라 블록딜에 나서는 이유는 다음 달 24일부터 시행되는 '블록딜 사전 공시 의무제' 도입 영향으로 풀이된다. 사전 공시 기간과 실제 블록딜 사이 시차 괴리로 매각 대금이 줄어들 것을 우려했기 때문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사전 공시 의무제를 시행하면 공시 시작과 실제 블록딜 사이에 30~90일의 시차가 생기는데, 이 기간에 블록딜로 인한 유통 주식 증가와 주요 주주의 대량 매도 자체가 투자자들의 불안 심리를 자극해 주가를 끌어내릴 수 있다는 의견이다. 이 밖에도 공매도(차입 주식 매도)가 재개되는 경우 공매도 세력 타깃이 될 수 있다는 점 등이 이유로 진단된다.

블록딜 사전 공시의무제 주 골자는 유가증권시장(코스피)과 코스닥 상장사 임원이나 지분율 10% 이상인 주요 주주가 발행주식 수 1% 이상을 거래할 때 가격·수량·기간을 블록딜 90일 이전부터 최소 30일 전까지 공시하는 것으로 시장 충격을 완화하고 투자자를 보호하겠다는 취지로 도입됐다.

일각에서는 과거 전환사채(CB) 제도 변경 때와 같다며, 규제 도입 전 기업들이 물량을 재빨리 털어내면서 시장 투명성이 강화될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효과가 작을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2021년 말 금융당국은 CB 전환 가액 상향 조정을 의무화하기로 했다. 기존에 CB 발행 시 주식 가격이 내려가면 전환 가액이 하향 조정되는데, 주식이 반등하면 다시 상향 조정하도록 제도가 변경됐다. 이에 CB 투자 매력도가 떨어져 자금조달이 어려워질 것을 우려한 기업들이 제도 변경 전 CB 발행에 열을 올린 바 있다.

'꼼수' 사례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블록딜 사전 공시 의무화가 시행된다고 하더라도 1% 미만의 거래에 대해선 공시할 의무가 없기 때문에, 하루에 3% 처분할 것을 3일 이상 나누는 방안이나, 50억원 미만 거래의 경우 공시 의무가 없다는 점을 고려하면, 급한 자금이 아닐 경우 기관들을 모아 공동투자(클럽딜)방식으로 소규모 분할 매각을 하는 것 역시 선택지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점이 블록딜 사전 공시 제도 역시 '허울'뿐인 제도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개인투자자 보호를 내세우고 있지만 자칫 투입비용이나 시간 대비 실효성이 적다는 의견도 나온다.

황세운 자본시장 연구원은 "새로운 규제가 시행되기 전 이전 규제가 유리하다고 판단되면 일반적으로 흔히 관찰되는 현상으로 사전공시제도를 탈피하기 위해 현재 블록딜이 많이 집중되는 현상"이라며 "기업들이 규제를 회피하기 위해 우회로를 검토하는 것도 어쩔 수 없는 부분이며 그 부분을 또 보완하면서 제도가 진화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블록딜 사전 공시의무제도가 일정 수준 투명성을 높이는 데는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뉴스웨이 김세연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