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2일 목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 금감원, BNK금융·부산은행 '시세조종'에 '기관경고' 중징계

금융 금융일반

금감원, BNK금융·부산은행 '시세조종'에 '기관경고' 중징계

등록 2024.07.24 09:08

이지숙

  기자

공유

[DB BNK금융그룹.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DB BNK금융그룹.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금융감독원이 BNK금융지주와 부산은행의 주식 시세조종 가담에 대해 중장계에 해당하는 '기관경고' 조치를 내렸다. BNK금융지주와 부산은행은 2015~2016년 거래처를 동원해 BNK금융지주 주식을 고의로 끌어올렸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지난 12일 검사결과를 토대로 BNK금융지주와 부산은행에 기관경고 조치를 내렸다. 이 외에도 임직원 19명에게 해임권고·요구를 비롯해 정직, 감봉, 견책 등을 통보했다. 금융사는 기관경고를 받을시 1년간 금융당국 인허가가 필요한 신사업에 진출이 불가능하다.

금감원에 따르면 성세환 전 BNK금융 회장은 2015년 10월경 724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추진하도록 지시하고 테스크포스팀(TFT)을 설치 후 2015년 11월 유상증자 계획을 공시했다. 하지만 이후 주가가 급락하자 11월 성 전 회장은 그룹 계열사 사장단 회의에서 여신거래업체를 활용해 주가관리를 하라는 취지의 지시를 내렸다.

이에 따라 2015년 11월 말부터 TFT에서는 '주가부양방안'을 작성하는 등 주가관리를 위한 내부검토를 시작했고 12월 시세조종계획을 완성해 성 전 회장에게 보고했다.

이후 BNK금융은 이를 실행할 목적으로 2015년 12월 부산은행으로부터 여신잔액 100억원 이상 차주 명단을 제공받아 BNK금융 주식매수를 권유할 거래처를 선별했다.

부산은행 임직원들은 2015년 12월 21일부터 2016년 1월 4일 기간 중 부산은행의 14개 여신거래업체를 활용해 유상증자 발행가 산정기간 동안 BNK금융지주 주식에 대한 집중 매수가 이뤄지도록 직·간접적으로 지시했다. 이는 '자본시장법'상 시세조종 등의 금지의무를 위반한 것이다.

실제로 한 회사의 경우 고가매수주문 42회, 물량소진주문 72회, 종가관여주문 1회 등 총 115회에 걸친 시세조종성 주문 제출을 통해 총 173억원 규모의 주식을 매수했다. 이 기간 동안 BNK금융지주 주가는 8000원에서 8330원으로 상승했다.

또한 금감원은 BNK금융 내부적으로 거래처를 활용한 매수세 확보방안이 시세조종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문제를 인식하고 주가부양방안이 잠시 중단됐었으나 유상증자 성공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자 결국 해당 계획을 실행한 점도 지적했다.

한편 성 전 회장은 시세조종을 포함해 공무원 부정청탁 등 혐의로 기소돼 2020년 대법원에서 징역 2년과 벌금 700만원을 선고받았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