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2일 목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유통·바이오 "중국 수요 부진"···애경산업, 3Q 영업익 전년比 48%↓

유통·바이오 패션·뷰티

"중국 수요 부진"···애경산업, 3Q 영업익 전년比 48%↓

등록 2024.11.01 11:42

김제영

  기자

공유

그래픽=배서은 기자그래픽=배서은 기자

애경산업은 올해 3분기 매출액 1653억원, 영업이익 96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0%, 48.0% 감소했다고 1일 밝혔다.

중국 수요 부진과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국내외 투자 확대의 영향으로 매출액과 이익이 축소됐으나 지속적인 투자로 글로벌 및 채널 다변화의 성과를 이어나가고 있다.

3분기 누적 매출액은 5080억원, 영업이익은 435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0% 증가, 13.6% 감소한 액수다.

화장품 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5.2% 감소한 570억원, 영업이익은 53.2% 감소한 39억원을 기록했다. 홈쇼핑 채널 운영 효율화를 비롯해 디지털 채널 성장, 다이소 등 신성장 채널 공략 등으로 국내 매출은 성장했으나 중국 수요 부진과 마케팅 투자 확대로 실적이 감소했다.

중국에서는 소비 환경 악화로 인해 성장이 둔화됐으나 현지화 제품 출시, 유명 왕홍과의 협업 등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통해 고객 다변화 및 브랜드 경쟁력을 강화했다. 일본에서는 루나를 중심으로 현지 유통 채널 입점을 확대하고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해 성장세를 이어갔다. 미국에서는 AGE20'S 선케어류를 선보이는 등 시장 안착을 위한 시도를 지속했다.

생활용품사업의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8% 감소한 1082억원, 영업이익은 43.6% 감소한 57억원을 기록했다.

케라시스, 2080 등 퍼스널케어의 양호한 성장과 블랙포레, 랩신 등 프리미엄 제품 비중이 지속 확대됐으나 국내 소비 부진과 디지털 채널 경쟁 심화에 따른 비용 부담의 영향으로 실적이 감소했다.

글로벌 시장에선 성장을 위한 기반 마련에 노력했다. 북미, 일본 등 전략국가 중심으로 채널 및 제품 카테고리를 확장했다. 미국에서는 바디 및 헤어케어의 운영 품목군을 확대했으며, 일본에서는 온라인 채널에 바디케어 브랜드 '럽센트' 등을 선보였다.

애경산업 관계자는 "성장을 위한 국내외 투자를 지속할 예정"이라며 "글로벌 소비자 성향과 시장 환경을 고려한 제품 개발과 함께 팝업스토어 등 소비자와 직접 만날 수 있는 마케팅을 강화하며 글로벌 시장, 특히 비중국 국가에서의 경쟁력을 지속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태그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