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24일 목요일

  • 서울 12℃

  • 인천 12℃

  • 백령 9℃

  • 춘천 14℃

  • 강릉 15℃

  • 청주 13℃

  • 수원 12℃

  • 안동 16℃

  • 울릉도 12℃

  • 독도 12℃

  • 대전 13℃

  • 전주 12℃

  • 광주 14℃

  • 목포 12℃

  • 여수 18℃

  • 대구 20℃

  • 울산 20℃

  • 창원 18℃

  • 부산 18℃

  • 제주 16℃

산업 OCI홀딩스 1분기 흑자전환···"밸류체인 확대"

산업 에너지·화학

OCI홀딩스 1분기 흑자전환···"밸류체인 확대"

등록 2025.04.24 16:42

신지훈

  기자

공유

매출 9465억원·영업이익 487억원동남아산 관세 제외 효과 실적 개선내년부터 美 생산 체제 본격화

그래픽=홍연택 기자그래픽=홍연택 기자

OCI홀딩스는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이 9465억원, 영업이익은 487억원을 기록하며 1개 분기 만에 흑자 전환했다고 24일 공시했다.

태양광용 폴리실리콘을 생산하는 말레이시아 자회사 OCI TerraSus를 비롯한 미국 태양광 지주회사 OCI Enterprises, 도시개발사업 자회사인 DCRE 등 주요 자회사들이 흑자 전환하며 영업이익률 5.1%를 기록했지만 당기순손실 규모는 15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4분기는 매출 8540억원, 영업손실 1078억원, 당기순손실 820억원을 기록한 바 있다.

OCI TerraSus는 기존의 장기공급계약(LTA) 고객사를 비롯해 인도네시아, 라오스 등 동남아 4개국(캄보디아·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 반덤핑/상계관세법(AD/CVD) 제외 국가의 판매량 증가로 지난해 4분기 대비 매출이 소폭 증가해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했다.

OCI 측은 오는 2분기에는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등 급변하는 글로벌 통상 환경에 따른 고객사의 수주량 감소에 맞춰 일부 생산 라인의 가동 조절을 통한 전략적 재고관리를 고려 중이라고 설명했다.

OCI Enterprises의 자회사 OCI Energy의 경우 260메가와트(MW) 규모의 선 로퍼 태양광발전소 사업권 매각 지연이 최종 마무리되면서 매출 및 영업이익이 증가했다. 이어 올 상반기 Lucky 7(100MW), Pepper(120MW) 등 총 220MW 규모의 프로젝트 매각을 목표로 고객사와 협의 중에 있다.

도시개발사업 자회사인 DCRE가 인천 미추홀구 학익동 일대에 공급하는 시티오씨엘은 현재 3, 4단지(2643세대) 입주 완료 및 6단지(1734세대)의 공사 진행률이 반영되며 매출 증가에 기여했다. 오는 28일부터 30일까지 청약이 완료되는 7단지(1453세대)의 분양이 2분기 내 완료될 예정이다.

회사는 지속되는 미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에 대응하고자 단기적으로 아프리카, 중동 등 저관세 국가에서의 신규 고객사를 확보해 재고 및 운전자본을 철저히 관리하고, 중장기적으로는 OCI TerraSus의 폴리실리콘을 기반으로 내년까지 총 2기가와트(GW) 규모의 텍사스 셀 공장을 세워 시장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OCI홀딩스는 지난달 미국 텍사스주에 독자적인 태양광 셀 생산 공장을 세운다는 계획을 발표함으로써 이번 관세 리스크에 대한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OCI홀딩스는 총 2억6500만 달러(약 3800억원)를 투자해 내년 상반기 1GW의 셀 생산에 돌입하고, 하반기 1GW 규모의 점진적 증설을 통해 총 2GW 이상의 생산능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최근 미국 태양광 손자회사 미션솔라에너지(MSE) 부지에 20만평방피트(약 5600평) 규모의 시설 확장을 완료했고, 텍사스 주정부로부터 안정적인 전력공급 및 풍부한 공업용수 등 필수 인프라 설치를 위한 관련 각종 인허가를 이미 확보하고 있어 내년 상반기 상업 생산까지 빠른 진척이 예상된다.

OCI홀딩스는 이번 미 현지 셀 공장 건설에 앞서 지난해 12월 샌안토니오 텍사스대학교(UTSA)에 25만 달러(약 3억5000만원)의 장학금을 기부하는 등 태양광 분야의 우수한 인재 확보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우현 OCI홀딩스 회장은 "미국의 상호관세와 대중국 규제 강화에 따른 대대적인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라 주로 수입에 의존하던 미국 내 셀 생산 및 공급이 현저히 부족해진 상황"이라면서 "현지 부품을 사용한 프로젝트에 추가 세액 공제를 제공하는 DCA 조항에 부합하는 셀을 생산하게 되는 우리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회사가 추진하고 있는 셀 공장 외에도 복수의 글로벌 파트너사들과의 합작투자 등 전략적 협업을 통한 웨이퍼 밸류체인 확장에 대해서도 신중한 검토를 진행 중에 있다"고 덧붙였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