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2일 목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부동산 전월세 가구 1000만 육박···절반 이상 '수도권' 집중

부동산 부동산일반

전월세 가구 1000만 육박···절반 이상 '수도권' 집중

등록 2025.08.17 15:14

차재서

  기자

공유

지난달 토지거래허가제가 해제된 서울 잠실 일대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권한일 기자지난달 토지거래허가제가 해제된 서울 잠실 일대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권한일 기자

전국 전·월세 가구가 1000만에 육박하며 그 중 절반이 수도권에 거주한다는 통계가 나왔다. 특히 서울의 경우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무주택 가구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주택소유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전국 무주택가구는 961만8474가구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약 7만7000가구 늘어난 수치다.

무주택가구는 구성원 중 누구도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가구를 의미한다.

지역별로는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의 무주택 가구가 506만804곳으로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경기 238만2950가구, 서울 214만3249가구 등이다.

또 서울의 무주택 가구는 지역 전체(414만1659가구)의 51.7%에 달했다. 2021년 51.2%, 2022년 51.4% 등 꾸준히 상승하는 모양새다. 전국에서 2년 연속 증가세를 유지한 곳은 서울이 유일하다.

이는 '집값 격차'가 반영된 결과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매년 투자 수요가 몰려 서울의 주택 가격이 상승하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어서다. 한국은행의 6월 보고서를 보면 2023년 1월 이후 올 4월까지 서울 지역의 주택매매가는 16.1% 뛰었다. 지난 20년을 돌아봐도 서울의 집값 상승률이 419.42%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

다만 높은 집값이 전월세 상승으로 이어진다는 게 문제점으로 지목된다. 가격 부담에 집을 마련하지 못하는 가구가 높은 주거비 부담까지 떠안아야 해서다.

이와 맞물려 임대사업자의 소득도 지역별로 양극화하는 모양새다. 2023년 귀속분 1인당 부동산 임대소득은 1774만원으로 전년(1768만원)보다 0.3% 증가했는데, 그 중 서울 지역의 1인당 임대소득이 2456만원으로 2.0% 늘면서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