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비수도권, 공공·민간 동향 차이 뚜렷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건설계약액 307조원, 전년 대비 3.4% 증가
국내 계약액 267조원(3.4%↑), 해외 41조원(2.9%↑)
건설공사액 364조원, 1.4% 증가
국내 공사액 316조원(0.8%↓), 해외 48조원(18.3%↑)
수도권 계약액 131조원(17.7%↑), 비수도권 136조원(7.4%↓)
건축(9.5%↑), 토목(13.0%↑) 증가
산업설비(-35.1%), 조경(-15.5%) 부진
아파트·공장·창고, 택지·도로·터널 계약 증가가 반등 견인
2021·2022년 계약액 수준엔 미치지 못함
공공부문 공사액 90조원(7.2%↑)으로 성장 버팀목
민간부문 공사액 226조원(3.6%↓)로 위축
해외 공사, 아메리카(40.3%↑)·중동(31.9%↑) 성장 두드러짐
국내 계약액은 267조원으로 3.4% 늘었고, 해외 계약액도 41조원으로 2.9% 증가했다. 국내에선 수도권이 131조원으로 17.7% 급증했지만, 비수도권은 136조원으로 7.4% 줄며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공종별로는 건축(9.5%)과 토목(13.0%)이 늘었으나, 산업설비(-35.1%), 조경(-15.5%)은 부진했다. 아파트·공장·창고 계약이 늘어난 건축 부문과 택지·도로·터널이 늘어난 토목 부문이 계약 반등을 견인했다. 발주자별로는 공공부문이 87조원으로 8.0% 증가했고, 민간부문도 179조원으로 1.4% 늘었다.
지난해 건설공사액은 364조원으로 1.4% 증가했다. 2021년(6.5%), 2022년(11.5%), 2023년(4.7%)에 이어 4년 연속 성장했지만, 증가 폭은 2020년(-1.7%) 이후 가장 작았다.
국내 공사액은 316조원으로 0.8% 줄었다. 특히 수도권(151조원)이 2.7% 감소하며 전체 부진을 이끌었다. 반대로 비수도권(165조원)은 1.0% 증가했다. 해외 공사액은 48조원으로 18.3% 늘어 대조를 이뤘다. 지역별로는 아메리카(40.3%), 중동(31.9%)에서 공사가 크게 늘었다.
발주자별로는 공공부문 공사액이 90조원으로 7.2% 증가해 버팀목 역할을 했지만, 민간부문은 226조원으로 3.6% 감소했다.
뉴스웨이 권한일 기자
kw@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