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8월 26일 화요일

서울 28℃

인천 27℃

백령 24℃

춘천 29℃

강릉 29℃

청주 27℃

수원 27℃

안동 28℃

울릉도 27℃

독도 27℃

대전 27℃

전주 27℃

광주 28℃

목포 29℃

여수 29℃

대구 29℃

울산 30℃

창원 29℃

부산 28℃

제주 27℃

유통·바이오 자사주 소각 의무화 임박···식품업계 '딜레마'

유통·바이오 식음료

자사주 소각 의무화 임박···식품업계 '딜레마'

등록 2025.08.26 16:42

김제영

  기자

공유

AI한입뉴스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숫자 읽기

샘표 자사주 비중 29.92%

오뚜기 14.18%, 하림지주 13.16%, 국순당 11.90%, KT&G 11.60%

빙그레, 3% 소각 후 7.47%로 감소

현재 상황은

민주당, 9월 정기국회서 상법 개정 논의 예정

소각 기한 6개월~1년 제안된 개정안 발의

KT&G, 남양유업 등 일부만 최근 적극 소각

낮은 배당 성향 지적, 주주환원 정책 강화 압력경영권 방어·자금 운용 전략 변화 예고상법 개정안 논의 본격화, 업계 대응방안 촉각

자사주 소각 의무화 임박···식품업계 '딜레마' 기사의 사진

자사주 소각 의무화 입법이 가시화되면서 자사주 비중이 높은 식품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배당 성향이 낮다는 비판을 받아온 업계 특성상 주주환원 압박은 더 커질 전망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은 오는 9월 정기국회에서 자사주 취득 후 일정 기간 내 소각을 의무화하는 상법 개정 논의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기도 한 자사주 소각 의무화는 최근 김남근 민주당 의원과 차규근 조국혁신당 의원이 각각 '1년 이내' 및 '6개월 이내' 소각을 골자로 한 상법 개정안을 발의하면서 입법 속도가 붙고 있다.

민주당은 자사주 소각이 주주환원 정책에 부합한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기업들은 자사주를 경영권 방어나 자금 운용 수단으로 활용해왔다는 점에서 일방적인 의무화에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특히 자사주 비중이 높은 식품기업들의 대응이 주목된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샘표(29.92%), 오뚜기(14.18%), 하림지주(13.16%), 국순당(11.90%), KT&G(11.60%) 등이 상위권에 포진해 있다. 빙그레는 지난 4월 자사주 일부(총발행주식의 3%)를 소각하며 비중을 7.47%로 낮췄다.

자사주 매입과 소각은 일반적으로 주가 부양 및 주주가치 제고 수단으로 평가된다. 소각을 통해 유통 주식 수가 줄어들면 주당순이익(EPS), 자기자본이익률(ROE) 등이 개선돼 주가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사주를 소각하지 않고 장기 보유하거나 우호지분으로 활용하는 기업들도 많았다. 경영권 방어나 차익 실현 수단으로 악용되면서, 일부 기업은 자사주 매입에 유보금과 차입금을 투입해 논란을 빚기도 했다. 대표 사례로는 2012년 샘표가 형제간 경영권 분쟁 당시 자사주를 대거 매입해 방어 수단으로 활용한 일이 있다.

최근 3년간 자사주를 적극적으로 소각한 식품기업은 KT&G와 남양유업 정도다. KT&G는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에 따라 1분기 3600억원(발행주식의 2.5%) 규모의 자사주를 소각했으며 남양유업도 같은 기간 200억원어치를 소각했다.

업계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가 자칫 기업의 전략적 선택을 제약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경영권 방어, 유연한 자금 운용 등 기업의 상황에 따라 자사주 보유가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자사주 소각은 주주환원의 수단이 될 수 있지만, 모든 기업에 일률적으로 적용하긴 어렵다"며 "아직 세부 입법안이 나오지 않은 만큼, 향후 논의 과정을 지켜보며 대응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