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아직 안정 확신 없어···"금리로 집값을 잡을 순 없어""한미 회담 긍정적···미국 생산 늘면 노사갈등 발생 우려"
28일 이 총재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한 뒤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내년 경제성장률이 한은 전망치인 1.6% 수준이라는 전제하에 금리 인하 기조를 이어갈 예정"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내년 상반기까지 낮은 성장률을 유지하다 하반기 들어 잠재성장률에 가까운 수준으로 올라갈 것"이라며 "올해 11월 수정 경제전망 때 1.6%가 바뀌면 (통화정책 기조도) 그에 따라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잠재성장률과 관련해서는 "2% 밑으로 떨어졌다고 보고 있다"며 "고령화 등 구조적인 측면 때문에 잠재성장률이 떨어져 안타까운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미국 같이 큰 나라도 2% 넘는 잠재성장률을 갖고 있는데 우리나라가 고령화 등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성장률이 1%대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당연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기준금리 동결 이유로 지목된 가계대출 및 집값에 대해서는 "유동성을 과다 공급함으로써 집값 상승 기대를 부추기지 않겠다는 것"이라며 "금리로 집값을 잡을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또 "아직 가계부채가 안정됐다고 확신하기 어렵다"며 "우리나라는 인구의 50% 이상 수도권에 살고 있어 부동산 가격이 물가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고 덧붙였다.
한미정상회담 결과와 관련해서는 "(한미정상회담이) 순조로운 협상 결과였다"며 "8월 초 협상 결과에서 큰 차이가 없는 상황"이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어 "결과가 부정적이었다면 현재 물가는 안정적이지만 성장과 금융안정 간의 상충 관계가 심해져서 금리 동결을 결정하기가 상당히 부담스러웠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다만 이 총재는 "협상이 유지돼도 미국 관세를 피하기 위해 자동차 업체 등이 미국 생산을 늘리면 노사 간 갈등이 확산할 수 있다"며 "대미 관세 협상이 재촉발될 가능성을 굉장히 우려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공장을) 해외로 이전하는 과정에서 갈등이 일어날 수 있다"며 "정치적, 경제적으로 조율이 안 되면 더 큰 피해를 볼 수 있어 걱정"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문성주 기자
moonsj7092@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