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서울 21℃

인천 21℃

백령 21℃

춘천 20℃

강릉 25℃

청주 22℃

수원 22℃

안동 23℃

울릉도 24℃

독도 24℃

대전 22℃

전주 23℃

광주 23℃

목포 23℃

여수 25℃

대구 25℃

울산 25℃

창원 24℃

부산 25℃

제주 26℃

오피니언 MBK '책임 회피' 쇼, 명분 쌓기 불과

오피니언 기자수첩

MBK '책임 회피' 쇼, 명분 쌓기 불과

등록 2025.09.24 17:36

조효정

  기자

공유

reporter
MBK파트너스의 '책임 선언'은 진짜 책임이 아니라 또 다른 변명에 불과하다. 대주주로서의 최소한의 역할조차 회피하는 '명분 쌓기'가 국민과 투자자를 기만하고 있다. 금일 MBK가 발표한 '사회적 책임 이행 방안'에 대한 기자의 솔직한 속내다.

특히 MBK의 홈플러스 '3000억원 지원'과 '최대 2000억원 무상 증여' 계획은 액면 그대로 믿을 수 없다. 실제 현금 투입보다는 연대보증에 무게를 둔 '책임 회피용 생색내기'에 가깝다. 사모펀드 운영사가 책임투자 원칙을 내세우면서도 막상 실질적 부담은 국민연금 등 공공영역에 떠넘기는 행태는 도덕적 해이를 넘어 시장 신뢰마저 흔들고 있다.

MBK는 김병주 회장의 개인 자금 400억원을 포함해 3000억원을 지원했다고 하지만 대부분은 DIP 대출과 기존 차입금에 대한 연대보증에 불과하다. DIP 대출은 연 10% 고금리로 오히려 홈플러스의 재무 부담을 가중시키는 '부담의 덧씌우기'다. 현금이 아니라 보증을 내미는 방식은 '책임 있는 투자'와는 거리가 멀다.

더 문제인 것은 향후 운영 수익을 활용해 '최대 2000억원' 증여하겠다는 발표다. 구체적인 시기와 방법, 주체가 불투명해 사실상 '언젠가 할 수도 있다'는 책임 회피용 약속에 가깝다. 눈속임에 가까운 2조5000억원 규모 보통주 무상 소각 역시 실질 가치는 이미 '제로'에 가까운 상황에서 손실을 덮으려는 쇼에 불과하다.

투자자 보호는 또 다른 문제다. 홈플러스는 3월 카드대금 기반 유동화증권을 전액 변제하겠다고 밝혔지만 회생계획에는 조기 변제 계획이 빠져있어 투자자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반면, MBK가 보증한 DIP 대출은 공익채권으로 우선 변제되는 반면 일반 투자자들은 뒤로 밀리는 불공정한 현실이다.

더욱이 납품업체와 영세 상인, 일반 투자자들은 회생절차 개시 전 협의조차 받지 못했다. MBK가 지난 10년간 경영 실패 책임을 온전히 지지 않고 이 부담을 고스란히 이해관계자들에게 전가하고 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국민연금의 손실 우려도 심각하다. 6100억원에 달하는 홈플러스 관련 투자금 중 3000억원 회수가 불투명한 가운데 MBK가 내세우는 '블라인드 펀드 2배 수익률'은 홈플러스 이외 성과를 섞은 통계에 불과하다. 정작 홈플러스 직접 투자는 회수 가능성이 점점 낮아지고 있다.

이처럼 기업가치를 훼손하고 책임을 공공에 떠넘기는 구조는 사모펀드의 단기 수익 지향적 운영 방식이 공공자금 운용에까지 무분별하게 적용된 결과다. 'ESG'와 '책임투자'가 허울뿐인 구호로 전락한 순간이다.

MBK는 "끝까지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한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선 추석 상여금 연기, 폐점 보류, 납품사 불확실성 등 혼란만 커지고 있다. 이제는 그럴듯한 명분을 내세울 때가 아니다. 실질적 손실 분담과 이해관계자 보호를 통해 책임 있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책임은 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증명된다. MBK가 진정한 책임을 다하지 않는다면 그들은 또 한 번 '이익은 챙기고 손실은 떠넘긴' 사모펀드의 표본으로 영원히 남을 것이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