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자 과반, 집값 상승 전망에 주택 매입 의지미혼-기혼 목적 차이 뚜렷···실거주와 투자 양분
비즈니스 네트워크 서비스 '리멤버'는 '내 집 마련 인식 조사' 결과를 2일 공개했다.
조사는 '리멤버 리서치'를 통해 직장인 1508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응답자의 81.2%는 '5년 내 주택 구매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금리 인상으로 부동산 시장이 위축될 것이라는 시장 통념을 정면으로 뒤엎는 결과여서 더욱 주목된다는 게 리멤버의 설명이다.
실제로 강력한 구매 의향은 무주택자(87.6%)뿐 아니라 유주택자(75.5%)에게서도 동시에 높게 나타났다. 이자 부담이라는 단기적 어려움보다 내 집 마련을 통한 장기적 자산 가치 확보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직장인들의 투자 심리를 명확히 보여준다는 게 리멤버 측의 설명이다.
강력한 주택 구매 의향의 배경에는 '결국 오른다'는 부동산 불패 심리가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 집 마련 계획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의 과반 이상인 54.8%가 향후 집값 상승을 전망했다.
내 집 마련에 부족한 자금 조달처를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절반 이상(54.4%)이 주택담보대출을 꼽았다. 또한, 구매 계획이 있는 이들 중 3명 중 1명(33.2%)은 이미 1억~3억원 미만의 종잣돈을 마련했다고 답했다.
다만, 내 집 마련의 구체적인 목적을 들여다보면 결혼 여부에 따른 뚜렷한 차이가 존재했다. 기혼 응답자는 주택을 '실거주(52.3%)'와 '투자(47.7%)' 모두 중요하다고 답했지만, 미혼 응답자의 경우 '실거주(64.1%)' 목적이 과반을 훌쩍 뛰어넘었다.
부동산 정책에 대한 입장차도 크다. 현 부동산 정책 규제에 대해 기혼 응답자의 74.7%가 '과도하다' 또는 '적절하다'와 같이 명확한 입장을 가진 반면, 미혼 응답자는 '잘 모르겠다(39.2%)'는 유보적인 응답이 가장 높았다.
주대웅 리멤버앤컴퍼니 리서치사업실장은 "이번 조사는 시장의 통념을 뛰어넘는 직장인들의 강력한 내 집 마련의 욕구를 보여주는 결과"라고 밝혔다.

뉴스웨이 유선희 기자
point@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