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업계에 따르면 고려아연은 2027년 12월까지 약 557억원을 투자해 울산 온산제련소에 갈륨 회수 공정을 신설한다. 글로벌 갈륨 시장을 중국이 완전히 장악한 상황에서 고려아연의 이번 투자 결정은 국내 자원 안보 강화는 물론 글로벌 공급망 안정에 기여하려는 것이다.
갈륨은 반도체를 비롯해 ▲태양광 패널 ▲레이저 ▲야간 고글 ▲발광다이오드(LED) ▲고속집적회로 등 첨단산업의 원료로 쓰인다. 갈륨은 지난해 전 세계 생산량(약 762t)의 98.7%를 중국이 담당하고 있어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국 의존도가 특히 높은 핵심 광물로도 꼽힌다.
은산 갈륨 공장은 2028년 상반기 시운전 후 본격적인 상업 가동에 들어가고, 연간 약 15.5t의 갈륨을 생산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통한 기대 수익은 연 110억원 규모다.
고려아연은 "최근 사내 연구소와 핵심 기술진을 중심으로 고도화된 갈륨 회수 기술 상용화와 최적화에 성공하면서 공장 신설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돼 충분한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고려아연은 갈륨 생산 공정의 부산물로 또 다른 전략 광물인 인듐을 연간 16t 이상 확보할 수 있어 추가 수익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인듐은 반도체와 재생에너지 등 주요 첨단산업에 쓰이는 희소금속으로, 중국 의존도가 절대적으로 높다. 공급망 위기 속에 최근 5년간 가격도 약 2배 상승했다. 고려아연은 지난해 기준으로 연간 약 150t의 인듐을 생산하며 전 세계 인듐 수요의 약 11%를 책임지고 있다. 이는 중국을 제외하면 세계 최대 규모다.
고려아연 관계자는 "중국의 수출통제와 전 세계적인 공급망 불안, 첨단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각국의 치열한 전략 광물 확보전 등으로 국가 경제와 안보 측면에서 전략 광물의 중요성이 한층 높아졌다"며 "고려아연은 국내 유일의 전략 광물 허브로서 해당 분야에 대한 투자와 기술 향상 노력으로 기술 자립도를 높이고 공급망 안정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김세현 기자
xxia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