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보미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9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최근 유가증권시장 신용융자 증가의 시사점' 보고서를 내놨다. 보고서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국내 주식시장의 신용융자 잔고는 25조5000억원으로, 기존 기록인 25조7000억원(2021년 9월 13일)에 근접했다. 특히 코스피가 4000선을 돌파하면서 유가증권시장 신용융자 잔고는 15조8000억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최근 '빚투' 증가세에서 두드러진 점은 개인투자자의 일반 현금매수와 신용매수가 엇갈린다는 점이다. 올해 4월부터 10월 말까지 개인들은 현금매수로는 대규모 순매도를 이어갔지만 신용매수는 오히려 확대했다. 2021년 현금과 신용을 동시에 늘렸던 양상과는 대조적이다.
업종별로는 개인투자자들이 반도체·자본재 등 수익률이 높은 종목을 일반거래에서는 순매도했지만 신용투자는 이들 종목에 집중되는 등 외국인 순매수와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10월 말 기준 유가증권 신용융자 잔고 중 자본재 비중은 27.7%(3조9000억원), 반도체는 15.8%(2조2000억원)에 달했다.
이 연구위원은 "개인투자자는 시장 조정을 예상해 상승 종목을 매도하거나 인버스 ETF에 투자하는 그룹과, 반도체·자본재 상승세에 레버리지 투자하는 그룹으로 양분된 것으로 보인다"며 "신용융자가 두 업종에 집중돼 있어 주가 하락 시 반대매매로 인한 가격 하락이 확대될 우려가 있다"고 경고했다.
뉴스웨이 박경보 기자
pkb@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