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오후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 열려李 "국내 투자 축소 걱정이 현실되지 않도록 잘 조치해달라"이재용 "관세 타결로 크게 안도···국내 투자 확대 약속 지킬 것"
대통령실에 따르면 16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가 개최됐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지금까지 정부와 기업이 이렇게 합이 잘 맞아 가지고 공동 대응을 한 사례가 없었던 것 같다"며 "남들이 예상하지 못한 성과라면 성과, 방어를 아주 잘 해낸 것 같다. 앞으로가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기업들이 자유롭게 창의적으로 힘 있게 전 세계를 상대로 활동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게 정부의 주요 역할이기 때문에 그 점에 대해서는 최소한 이 정부에서는 부족함이 없도록 최선을 다할 생각"이라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정기선 HD현대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여승주 한화그룹 부회장 등 7인의 재계 총수들이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자리한 재계 총수들에게 특히 대미 투자 확대가 국내 투자 축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언급하며 "그 걱정이 현실이 되지 않도록 잘 조치해 주실 것으로 믿는다. 가능한 한 유사 조건이라면 국내 투자에 더 마음을 써주시고, 지역 산업 활성화에도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 이재용 회장은 국내 투자와 고용 확대 의지를 다시 한번 강조하며 화답했다. 이 회장은 "관세 협상 타결로 기업들이 크게 안도하고 있다. 이제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저희 기업들은 후속 작업에도 차질이 없도록 정부와 적극 협조하겠다"며 "삼성은 국내 투자 확대, 또 청년의 좋은 일자리 창출 그리고 중소기업 벤처 기업과의 상생도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국내 투자 위축 우려와 관련해서도 명확히 선을 그었다. 이 회장은 "삼성은 지난 9월 약속한대로 향후 5년간 매년 6만명씩 국내에서 고용을 하고, R&D(연구개발)도 포함해 국내 시설 투자를 더욱 적극적으로 해나가겠다"며 "지역 균형발전 말씀하셨는데 저희가 짓는 AI 데이터센터는 수도권 이외 지역에 짓는 걸 원칙으로 하겠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이재명 대통령께서 '한미 정상회담을 마치신 후 어려운 대외 환경을 맞아 국력을 키워야 되겠다'고 하신 것은 어떤 말씀보다도 절실하게 제 머릿속에 남아 있다"며 "외교력, 국방력, 문화적 자산인 K-컬처는 물론이고 산업 경쟁력이 국력을 키우는 데 핵심 요소라고 생각한다. 삼성은 미래 기술 개발을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 열심히 하겠다"고 마무리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도 "원래는 2028년까지 128조원의 국내 투자를 계획했었으나 점점 투자 예상 비용이 늘고 있다"며 "정확한 추산은 어렵지만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만) 약 600조원 규모의 투자가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정의선 현대자동차 그룹 회장은 "국내에서 향후 5년간 연간 25조원씩, 즉 2030년까지 총 125조원의 대규모 투자를 추진할 예정"이라며 "지난해 계획했던 것보다 증가한 금액"이라고 강조했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향후 5년간 100조원의 국내투자가 계획돼 있다고 소개하면서 이 중 60%를 소재·부품·장비에 대한 기술 개발에 투입하겠다고 전했다.
여승주 한화그룹 부회장은 "우선 미국 필리조선소에 7조원 이상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며 "미국 조선시장에 대한 투자는 국내 조선산업과 기자재 산업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한다는 뜻도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미 투자 외에도 국내에서 조선·방산 분야에만 향후 5년간 11조원을 투자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기선 HD현대 회장도 "에너지 분야 및 인공지능(AI) 기계로봇 사업에 8조원, 조선·해양 분야에 7조원을 투입하며 향후 5년간 15조원 규모의 국내 투자를 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뉴스웨이 고지혜 기자
kohjihye@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