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건설업계, 환경·에너지 신사업 '2차 성장' 시동

부동산 건설사

건설업계, 환경·에너지 신사업 '2차 성장' 시동

등록 2025.11.21 16:37

권한일

  기자

정부 기후에너지정책 재가동태양광·수소 등 재생에너지 확대

건설업계, 환경·에너지 신사업 '2차 성장' 시동 기사의 사진

이재명 정부가 에너지 정책 기능을 환경부로 통합한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출범시키면서 건설업계의 친환경·에너지 신사업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문재인 정부 초기 급증했던 신재생 에너지 투자 흐름이 윤석열 정부 시기 주춤했던 가운데 정책 드라이브 재가동이 관련 실적 회복의 '두 번째 사이클'로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Quick Point!

이재명 정부, 에너지 정책을 환경부로 통합해 '기후에너지환경부' 신설

건설업계 친환경·에너지 신사업 주목도 상승

자세히 읽기

삼성물산, 국내외 태양광·그린수소 사업 성과 및 대형 EPC 수주

현대건설, 수소생산·해상풍력·CCS 등 기술력 확보 및 실적 확대

대우건설, 원전 기반 친환경 사업 진출과 포트폴리오 확장 추진

DL이앤씨·GS건설·한화 등도 실적 발표, 중견사 실적 반등 주목

SK에코플랜트, 실적 부진으로 일부 사업 구조조정

향후 전망

정책·제도 정비와 기업·발주자 참여 확산 필요

녹색 건축·제로 에너지 등 신사업 실질적 정착 기대

정부 인프라 확대 의지에 따라 전략적 접근 가속 예상

21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주요 건설사들은 기존 주택 중심 사업의 수익성 한계와 맞물려 태양광·수소·양수발전·전력 인프라 등 친환경·에너지 분야로 포트폴리오를 확대해왔다. 최근 몇 년간 정책사업 축소로 투자와 매출이 동시에 둔화됐지만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이 국정 핵심 의제로 재부상하면서 신사업 기초 체력이 다시 강화되는 분위기다.

업계 관계자는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수소 설비 등 에너지 기반 공정이 세분화되고 전문 공종 범위도 빠르게 넓어지고 있다"며 "글로벌 에너지 전환 흐름과 맞물려 관련 시공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다"고 말했다.

건설사 입장에서는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 공시 등 ESG 대응이 사실상 필수 과제로 자리 잡은 상황이다. 특히 건축·시공 과정에서 탄소 배출 저감, 에너지 사용량 절감, 폐기물 재활용 설계 등은 기업 경쟁력을 가르는 핵심 요소가 되고 있다.

대형 건설사들은 이미 관련 사업망 확대를 추진해 온 가운데 정부 정책 전환과 맞물려 신사업 성과를 본격적으로 가속화하고 있다.

삼성물산은 국내외 태양광·그린수소 사업에서 연이어 대형 EPC(설계·조달·시공) 수주를 기록했다. 지난 9월 카타르에서 약 1조5000억원 규모 태양광 EPC를 수주한 데 이어 이달 초 1조9100억원대 탄소 압축·이송 설비 공사 계약도 체결했다.

현대건설은 현대차그룹의 수소 생태계 전략과 연계해 수전해 기반 그린수소 생산, 수소 전주기 EPC, 해상풍력, 수소 인프라 시공 등 기술 경쟁력을 확보했다.

지난 8월 전북 부안에서 국내 최초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를 준공했으며 미국 텍사스 7500억원 규모 태양광 프로젝트 참여와 한화오션과의 해상풍력 협력을 통해 사업 외연을 확대하고 있다. CCS(탄소 포집·저장) 기술도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과 공동 개발 중이다.

대우건설은 원전 시공 기술을 기반으로 친환경 에너지 시장에 진출했다. 제주 감귤 태양광, 영월 풍력, 안산 수소연료전지 등 관련 사업 실적을 쌓았으며 최근 홍천양수발전소 1·2호기 공사를 수주했다. 김보현 대표는 창립 기념식에서 2028년까지 수처리 O&M(운영·관리)과 풍력 자체 개발로 포트폴리오를 확대할 계획이다.

DL이앤씨, GS건설, ㈜한화 건설부문 등도 연이어 친환경 실적을 발표했다. 중견사 가운데서는 코오롱글로벌(해상풍력), BS한양(태양광·바이오매스), 아이에스동서(건설 폐기물·배터리 재활용) 등 관련 기술력을 확보한 기업들의 실적 반등이 눈에 띈다.

반면 SK에코플랜트는 친환경·에너지 집중 전략에도 실적 부진이 이어지자 일부 자회사를 매각하고 사업 슬림화에 나섰다.

전문가들은 친환경 공법의 안착과 발주처·시공사 사업 확대를 위해 정책적 지원이 핵심이라고 강조한다.

김영덕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선임 연구위원은 "제로에너지 건축물, 그린 리모델링 등 녹색 건축 정책이 탄소중립 실현의 핵심 과제로 부상할 것"이라며 "건설업 내 실질적 정착을 위해 정책·제도 정비와 함께 건설기업과 발주자의 참여 확대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환경·에너지 신사업은 초기 부담이 크고, 최근 몇 년간 정책 지원이 줄면서 어려움이 많았다"면서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와 정부 차원의 인프라 확대 의지가 명확해지면서 전략적 접근이 다시 가능해졌다"고 밝혔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