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2025 부산 해양금융위크' 개막···이찬진 "글로벌 해양금융 중심지 기대"

금융 금융일반

'2025 부산 해양금융위크' 개막···이찬진 "글로벌 해양금융 중심지 기대"

등록 2025.11.25 11:00

박경보

  기자

글로벌 해양금융도시 도약 목표로 금융·조선·해운 한자리에정책금융·민간금융 연계한 해양금융 육성 전략 집중 논의금감원 "부산 금융중심지·해양산업 ESG 전환 기반 조성"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금융권과 산업계가 부산의 글로벌 해양금융허브 도약을 목표로 '2025 부산 해양금융위크'를 열고 미래 전략을 논의했다. 해양산업과 금융의 결합을 통해 부산이 글로벌 해양금융 중심지로 도약하기 위한 기반이 마련된 만큼 향후 해양금융과 자본시장 연계를 통한 새로운 산업 생태계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감독원과 부산광역시는 25일 부산 롯데호텔에서 2025 부산 해양금융위크 개막식을 공동 개최했다고 밝혔다. 해양산업의 탄소중립 전환 흐름 속에서 금융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논의한 점이 이번 행사의 핵심이다.

행사는 이날부터 이틀간 부산 롯데호텔 크리스탈볼룸에서 열리며 금융감독원, 부산광역시, 한국해양진흥공사, 부산국제금융진흥원이 공동 주관한다. 개막식과 해양금융컨벤션, BADA 콘퍼런스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됐으며 국내외 금융회사, 해양금융 관계 기업, 조선·해운사, 부산 금융유관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해양금융컨벤션은 2013년 첫 개최 이후 국제행사로 자리 잡았으며 2021년부터 해양금융 관련 행사가 '부산 해양금융위크'라는 이름으로 통합·확대됐다.

본행사에 앞서 열린 금융유관기관장 간담회에서는 부산 금융중심지 발전 방향과 정책금융의 역할이 논의됐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 이순호 예탁결제원 사장, 정정훈 자산관리공사 사장, 김경환 주택금융공사 사장, 이명호 부산국제금융진흥원장이 참석해 기관 간 협력 강화 필요성에 공감했다. 참석자들은 정책금융기관이 집적된 지역적 강점을 기반으로 부산 금융중심지 조성정책을 지원하겠다는 의견을 모았다.

개막식은 "바다와 자본이 만나는 부산, 글로벌 해양금융허브로"를 대주제로 열렸다. 현장에는 약 350명이 참석했고 금융기관, 조선·해운 기업, 언론 등이 참여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개회사에서 "세계 해양산업의 탄소중립 전환이 진행되는 가운데 해양금융이 친환경 기술·기업에 자본을 공급하며 지속가능한 해양산업을 이끌고 있다"며 "부산은 해양산업과 금융 인프라의 공존을 바탕으로 글로벌 해양금융 중심지로 성장할 잠재력이 크다"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앞으로도 생산적 금융 활성화를 통해 기반 조성에 힘쓸 방침이다.

해양금융컨벤션의 세션Ⅰ에서는 부산 해양금융중심지 모델과 글로벌 동향이 다뤄졌다. 이동해 부산국제금융진흥원 센터장은 부산형 해양금융중심지 육성전략을 발표했고, 요아킴 스코르게 DNB카네기 아태대표는 글로벌 해양금융 이슈를 설명했다. 김대진 산업은행 박사는 북극항로 개발 관련 금융 역할을 소개했고 박식원 해양금융종합센터장은 해양금융 지원 프로그램을 설명했다.

세션Ⅱ에서는 기업가치 제고와 자본시장 활용 전략이 중점적으로 다뤄졌다. 조진우 한국거래소 팀장은 조선·해운산업의 기업가치 제고 방안을 설명했고 라훌 카푸어 S&P 글로벌 해운리서치 글로벌헤드는 머신러닝 기반 드라이벌크선 운임 예측 방법을 소개했다. 우용빈 한국투자증권 팀장은 민간금융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으며 안광헌 HD한국조선해양 사장은 조선·해양산업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도전 과제를 제시했다. 이어진 패널토론에서는 부산 해양 특화 금융중심지의 내실화를 위한 정책·민간금융·산업계의 제언이 공유됐다.

금감원은 이번 행사에 대해 "다양한 해양금융 관계자가 모여 글로벌 해양도시 부산이 해양금융허브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지혜를 나누는 자리"라며 "전통적 모델에 더해 자본시장 활성화를 통한 해양금융 육성방안을 모색하면서 국내 해양·금융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평가했다.

금감원은 해양 특화 금융중심지로서 부산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 유관기관 등과 긴밀하게 소통할 방침이다. 또한 부산의 해양산업 등 지역경제 발전을 뒷받침할 수 있는 금융기반 조성을 위해 생산적 자금공급 활성화 등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