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SA 전환 앞두고 장비·코어 등 기술 고도화 수요 확대370㎒ 재할당으로 기지국 교체·장비 업그레이드 본격화주파수 대가 4조원 ··· 가격 높아지면 설비 투자 여력 제약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정부, 올해 내 주파수 재할당 방침 발표 예정
통신 소부장 업계, 실적 반등 기대감 고조
주파수 재할당이 통신 장비·기술 고도화와 직결
재할당 대상 주파수 총 370㎒
SK텔레콤 155㎒, KT 115㎒, LG유플러스 100㎒
전체 통신 시장 할당 주파수의 절반 규모
5G SA(단독모드) 전환 가속화 기대
AI·미래 모빌리티 등 신산업 인프라 확장
소부장 업체, 코어·MEC·O-RAN 등 신규 수요 확보
주파수 대가 과도 시 통신사 투자 여력 감소 우려
경매 최대 4조원 거론, 시장 관심 집중
대가 산정 방식 개선 요구, 해외는 혼합형 도입 추세
재할당·추가 할당은 소부장 업계에 호재
통신사, 개인정보 유출 등 비용 부담 증가
설비 투자 충분히 이뤄질지 관망 필요
업계가 이번 재할당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이유는 5G SA(단독모드) 전환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SA는 통신 서비스 품질 개선뿐 아니라 인공지능(AI)·미래 모빌리티 등 신산업의 핵심 인프라로 꼽히며 전 세계적으로 도입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SA 전환에 따라 코어·모바일 에지 컴퓨팅(MEC)·오픈랜(O-RAN)·전력 효율 장비 등 수요가 확대되면서 소부장 업체들에는 새로운 먹거리로 이어질 전망이다.
더욱이 5G 추가 할당이 무산되더라도 소부장 업계에는 의미 있는 수혜가 예상된다. 통신사들은 주파수 신규·재할당 때마다 기지국·장비·소프트웨어 고도화를 진행하기 때문이다. 확보하는 대역에 따라 장비 사양, 기지국 수, 응용 기술 구성이 달라져 공급업체 입장에서는 10년에 한 번 수준의 '특수'가 열린다는 평가다.
변수는 주파수 가격이다. 통신사 입장에서는 대가가 낮을수록 설비 교체 및 고도화 투자 여력이 커진다. 반대로 가격이 높게 책정되면 투자 규모가 위축될 수밖에 없다. 이번 경매는 최대 4조원 수준에 달할 것으로 거론되며 시장의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일각에서는 대가 산정 방식 개선 요구도 커지고 있다. 경매를 통한 '고가 경쟁'에만 의존할 경우 향후 네트워크 품질 투자 여력이 줄어든다는 지적이다. 해외 주요 국가들이 경매를 기본으로 하되 시장 상황에 따라 정액 산정·심사 등 보완 방식을 병행하는 '혼합형'을 채택하는 추세가 이를 뒷받침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재할당·추가 할당 자체는 소부장 업체들에 확실한 호재"라면서도 "최근 개인정보 유출 사고 등으로 비용 부담이 커진 통신사들이 설비 투자를 충분히 단행할 여력이 될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뉴스웨이 강준혁 기자
junhuk210@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