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도심항공 핵심 인프라 '스틸 버티포트' 실물 전시연구 성과·기술 솔루션 발표, 모듈형 버티포트 가능성 제시
도심항공모빌리티(Urban Air Mobility)는 전기동력·저소음 항공기와 수직이착륙장을 기반으로 도심에서 사람과 화물을 운송하는 차세대 첨단교통체계를 말한다. 버티포트(Vertiport)는 수직(Vertical)과 터미널(Port)의 합성어로, UAM 기체가 수직으로 이착륙하는 시설이다.
포스코는 박람회 현장에서 '스틸 버티포트' 전시 부스를 운영하며, 미래 도심항공 인프라의 핵심인 버티포트의 콘셉트와 모형을 선보였다. 특히 최근 포스코가 개발한 스틸 이착륙데크 시스템 실물을 전시했다.
UAM은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다. 미국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글로벌 UAM 관련 시장은 2020년 80억달러 수준에서 2050년 9조420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버티포트는 기체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높은 내구성과 안정성을 갖추어 설계돼야 한다. 이에 포스코는 가볍고 튼튼하면서 가격 경쟁력을 갖춘 버티포트 구현을 목표로 2023년부터 철강 소재와 강구조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그 결과 높은 강성과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얇은 두께로 경량화를 구현하는 한편, 경제성도 확보한 '스틸 버티포트'를 개발했다. 또 버티포트를 모듈로 분할해 공장에서 제작 후 현장에서 조립하는 프리패브 공법을 적용함으로써 시공 효율성과 활용성도 높였다. 프리패브는 공장에서 부재를 미리 제작하고 현장에서 조립해 구조물을 완성하는 공법을 말한다.
박람회 기간 중 열린 '제4차 UAM 안전·인증기술 연속 세미나'에서 포스코는 국가 연구개발(R&D) 과제 '이동식 모듈형 버티포트 설계 및 시공기술 개발'의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버티포트의 구조·기능적 요구 성능과 실제 적용 가능한 기술적 솔루션을 제시하고, 개발 성과를 바탕으로 효율성을 갖춘 모듈형 버티포트의 가능성을 강조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UAM의 운용체계 구축과 혁신적 인프라 개발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 개발과 국가적 투자가 필요하다"며 "포스코는 앞으로도 미래 도심항공 인프라 분야에서 선도적 역할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뉴스웨이 김제영 기자
zero1013@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