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T일반
AI 수주 '승부수'···클라우드 3사 성장 정체 돌파구 모색
KT클라우드, NHN클라우드, 네이버클라우드 등 국내 3대 클라우드 기업의 2분기 실적이 전년 대비 성장했으나 분기별 감소세를 나타냈다. 하반기에는 공공부문 AI 프로젝트와 GPU 인프라 확대로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정부 주도 사업 수주와 데이터센터 신규 구축 등이 실적 회복의 관건으로 꼽힌다.
[총 132건 검색]
상세검색
IT일반
AI 수주 '승부수'···클라우드 3사 성장 정체 돌파구 모색
KT클라우드, NHN클라우드, 네이버클라우드 등 국내 3대 클라우드 기업의 2분기 실적이 전년 대비 성장했으나 분기별 감소세를 나타냈다. 하반기에는 공공부문 AI 프로젝트와 GPU 인프라 확대로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정부 주도 사업 수주와 데이터센터 신규 구축 등이 실적 회복의 관건으로 꼽힌다.
증권·자산운용사
심지현 수석연구원 "하반기 빅테크 투자 주목···AI·클라우드 주가 상승 탄력"
신한투자증권은 2025년 하반기 글로벌 플랫폼 산업 전망을 발표했다. CapEx 축소와 생산능력 부족, AI 에이전트 경쟁, 법적 분쟁 등이 주요 변수로 작용하며, 클라우드, 사이버보안, 데이터산업 및 워크플로우 분야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올해 미국 CapEx 투자는 4000~5000억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IT일반
더존비즈온, 2분기 영업익 252억원···전년比 23.5% ↑
더존비즈온은 올해 2분기 매출 1059억원, 영업이익 252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5%, 23.5% 증가했다. 비즈니스 플랫폼 강화와 AI, 클라우드 전환이 실적 개선을 견인했으며 ONE AI 등 AI 서비스 도입이 확대되고 글로벌 진출이 본격화되고 있다.
IT일반
삼성SDS, 클라우드·생성형 AI 사업 호조···2분기 실적 견인(종합)
삼성SDS가 클라우드와 생성형 AI 부문의 성장세에 힘입어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각각 4.2% 증가했다. 클라우드는 약 20%대의 두 자릿수 성장률을 보였으나, 미국 관세 정책 등 영향으로 물류 부문 성장세는 둔화됐다. 회사는 금융 및 공공 부문에서 AI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IT일반
삼성SDS, 2분기 영업익 2302억원···전년比 4.2% ↑
삼성SDS가 2분기 매출 3조5120억원, 영업이익 2302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4.2% 성장했다. 클라우드 부문은 약 20% 상승했고, 생성형 AI 서비스와 공공 클라우드 사업 확대, 디지털 물류 플랫폼인 첼로스퀘어 가입 고객 증가가 실적을 뒷받침했다.
IT일반
LG CNS, 2분기 호실적···AI·클라우드가 성장 견인(종합)
LG CNS가 올해 2분기에도 AI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를 중심으로 매출 1조4602억, 영업이익 1408억 원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AI·클라우드 사업 매출이 전체의 60%를 차지했고, 올해 AIDC 매출은 5000억 원 돌파가 예상된다. 하반기에는 에이전틱 AI 등 신사업 확장과 정부 정책 호재로 추가 성장 기회를 모색한다.
인터넷·플랫폼
네이버 8경원 규모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도전장
네이버가 미국 MIT와 협력해 이족보행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착수했다. 글로벌 시장이 8경 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 속에, 네이버는 AI와 클라우드, 거대 언어 모델 등 원천 기술을 강점으로 삼아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ARC 시스템 등 로봇 플랫폼 고도화로 신사업 확장에 주력 중이다.
IT일반
LG CNS '데이터전문기관' 취소 신청, 왜?
LG CNS가 데이터전문기관 자격을 자진 반납하며 데이터 결합 관련 사업에서 철수했다. 가명정보를 활용한 서비스 수요 저조와 인증 유지 부담이 원인이다. 대신 LG CNS는 높은 성장세를 보이는 AI와 클라우드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는 전략적 전환을 선택했다.
IT일반
베일 벗은 티맥스 AI '가이아'···박대연 "5년 뒤 매출 1조원 자신"
티맥스ANC가 AI, 노코드, 클라우드 기술을 통합한 '가이아' 플랫폼과 핵심 제품 '가이아큐브' 베타버전을 공개했다. 가이아는 개발 지식 없이도 쉽고 빠르게 앱을 제작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프라이빗 클라우드 기반의 풀스택 아키텍처와 다양한 SaaS 앱을 순차적으로 제공한다. 박대연 회장은 단계별 매출 목표를 제시하며 2030년 국내 대표 기업 도약을 자신했다.
종목
'공모가 벽'에 막힌 LG씨엔에스···호실적·기관 매수세에 반등할까
LG씨엔에스가 1분기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공모가를 넘지 못하고 있다. 클라우드 및 AI 부문의 성장이 실적을 이끌었으며, 기관투자자의 매수세로 회복세를 보였으나 보호예수 해제로 인한 주가 하락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현재 주가는 5만3100원에서 거래 중이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