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컷
[한 컷]김지형 경사노위원장 환담 중 미소 짓는 손경식 경총 회장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장이 11일 오전 서울 마포구 한국경영자총협회를 내방한 김지형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과 환담을 하던 중 미소를 짓고 있다. 이번 자리는 정년연장과 주 4.5일제 등 주요 노동 현안 등을 논의한다.
[총 120건 검색]
상세검색
한 컷
[한 컷]김지형 경사노위원장 환담 중 미소 짓는 손경식 경총 회장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장이 11일 오전 서울 마포구 한국경영자총협회를 내방한 김지형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과 환담을 하던 중 미소를 짓고 있다. 이번 자리는 정년연장과 주 4.5일제 등 주요 노동 현안 등을 논의한다.
한 컷
[한 컷]'노동 현안' 논의 앞서 악수 나누는 손경식 경총 회장·김지형 경사노위원장
(오른쪽)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장이 11일 오전 서울 마포구 한국경영자총협회를 내방한 김지형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과 환담을 하기 앞서 악수를 하고 있다. 이번 자리는 정년연장과 주 4.5일제 등 주요 노동 현안 등을 논의한다.
한 컷
[한 컷]김지형 경사노위 위원장, 손경식 경총 회장에 "사회적대화 복원 협력 요청"
김지형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이 11일 오전 서울 마포구 한국경영자총협회를 방문해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장과 면담을 하고 있다. 이번 자리는 정년연장과 주 4.5일제 등 주요 노동 현안 등을 논의하는 자리다.
한 컷
[한 컷]손경식 경총 회장, 김지형 경사노위 위원장에 "합리적 노사관계 정착 큰 과제"
(왼쪽)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장이 11일 오전 서울 마포구 한국경영자총협회를 내방한 김영훈 신임 김지형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과 환담을 하던 중 미소를 짓고 있다. 이번 자리는 정년연장과 주 4.5일제 등 주요 노동 현안 등을 논의하는 자리다.
한 컷
[한 컷]김정관 산자부 장관, 손경식 경총 회장과 회동···韓美관세 협상 타결 닷새 만
(왼쪽)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이 4일 오후 서울 마포구 경총을 내방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면담을 하고 있다. 이번 면담은 김 산업부 장관이 경영계를 만나 한미 관세 협상 타결 과정에서 기업들의 지원에 감사의 뜻을 전달하기 위함이다.
한 컷
[한 컷]손경식 경총 회장에게 감사 인사 전하는 김정관 산자부 장관
(오른쪽)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4일 오후 서울 마포구 한국경영자총협회를 찾아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과 면담을 하고 있다. 이번 면담은 김 산업부 장관이 경영계를 만나 한미 관세 협상 타결 과정에서 기업들의 지원에 감사의 뜻을 전달하기 위함이다.
한 컷
[한 컷]김정관 산업부 장관 면담 자리 안내하는 손경식 경총 회장
(왼쪽)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이 4일 오후 서울 마포구 경총을 내방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면담을 하기 위해 자리를 안내하고 있다. 이번 면담은 김 산업부 장관이 경영계를 만나 한미 관세 협상 타결 과정에서 기업들의 지원에 감사의 뜻을 전달하기 위함이다.
한 컷
[한 컷]악수 나누는 김정관 산업부 장관·손경식 경총 회장
(앞 줄 오른쪽 첫 번째)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4일 오후 서울 마포구 한국경영자총협회를 찾아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과 면담을 하기 앞서 악수를 하고 있다. 이번 면담은 김 산업부 장관이 경영계를 만나 한미 관세 협상 타결 과정에서 기업들의 지원에 감사의 뜻을 전달하기 위함이다.
한 컷
[한 컷]'D-4 노란봉투법 본회의'에 드리운 그림자···경영계 미래는?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장이 31일 오전 서울 마포구 한국경영자총협회에서 열린 노동조합법 개정 긴급 기자회견에서 발표를 하기 위해 회견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노조법 2·3조 개정안(노란봉투법)'은 하도급 노동자에 대한 원청 책임을 강화하고 쟁의행위 범위를 확대하는 내용으로 지난 28일 더불어민주당 소관 상임위인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를 통과한 바 있다.
한 컷
[한 컷]'재계 큰 어른' 손경식 경총 회장 "노란봉투법 통과땐 산업생태계 붕괴와 혼란 야기"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장이 31일 오전 서울 마포구 한국경영자총협회에서 열린 노동조합법 개정 긴급 기자회견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노조법 2·3조 개정안(노란봉투법)'은 하도급 노동자에 대한 원청 책임을 강화하고 쟁의행위 범위를 확대하는 내용으로 지난 28일 더불어민주당 소관 상임위인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를 통과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