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T일반
'국가대표 AI' 정예팀 5곳 확정···연말 '대국민 평가' 받는다(종합)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LG, 네이버, SK텔레콤 등 5개 국내 기업(정예팀)을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 사업에 최종 선정했다. 정부와 기업들은 소버린 AI 구축, 데이터·GPU 등 맞춤 지원, 단계별 평가와 국민 참여 등으로 국내 AI 생태계 확장을 추진할 계획이다.
[총 5건 검색]
상세검색
IT일반
'국가대표 AI' 정예팀 5곳 확정···연말 '대국민 평가' 받는다(종합)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LG, 네이버, SK텔레콤 등 5개 국내 기업(정예팀)을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 사업에 최종 선정했다. 정부와 기업들은 소버린 AI 구축, 데이터·GPU 등 맞춤 지원, 단계별 평가와 국민 참여 등으로 국내 AI 생태계 확장을 추진할 계획이다.
산업일반
LG 컨소시엄, 국가대표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자로 선정
LG 컨소시엄이 국내 AI 파운데이션 모델 국가사업자로 선정됐다. 주관사 LG AI연구원의 EXAONE 4.0은 글로벌 AI 성능 분석에서 한국 1위, 오픈 웨이트 기준 세계 4위에 올랐다. 컨소시엄은 EXAONE 기술로 100% 이상 성능의 K-EXAONE을 오픈소스화하고, 다양한 산업에 적용해 국내 AI 생태계 확장에 나선다.
IT일반
LG·네이버 등 '국가대표 AI' 만든다···정부, 5개팀 최종 선정
과기정통부가 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SK텔레콤, 엔씨AI, 엘지경영개발원 AI연구원 등 5개 정예팀을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에 선정했다. 각 팀은 B2B·B2C·공공 부문 혁신을 목표로 텍스트, 음성, 이미지 등 통합형 AI 모델 개발에 나선다. 정부는 데이터·인재·GPU 지원을 바탕으로 연내 1차 평가를 실시한다.
통신
SKT '독자 AI' 컨소시엄에 최종현학술원·한국고등교육재단 합류한다
SK텔레콤이 주도하는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컨소시엄에 최종현학술원과 한국고등교육재단이 협력 의향서를 제출했다. 정책 연구와 인재 양성 분야를 대표하는 두 재단의 합류로 AI 기술의 사회적 확장성이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컨소시엄에는 크래프톤, 포티투닷, 리벨리온 등 주요 산업계와 서울대학교, KAIST 연구진이 함께 참여해 주권형 AI 모델 개발에 총력을 기울인다.
IT일반
'국가대표 AI' 선발전에 15개팀 도전···LG·네이버 등 출사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사업에 LG, SK텔레콤, 네이버 등 15개 팀이 참여했다. 정부는 8월 초 최대 5개 컨소시엄을 선정할 예정이다. 최종 선발팀에는 GPU, 데이터, 인재 등 정부 집중 지원이 제공된다. 국산 인공지능 모델이 글로벌 빅테크에 맞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