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OHCHR 전문가委 인도제철소 건설 중단 촉구인권유린·환경문제·불법 토지강탈 등 현지 반감 불러
유엔 인권 최고대표사무소(OHCHR) 산하 8인으로 구성된 전문가위원회는 1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포스코의 제철소 건설 계획으로 현지 주민 2만2000명이 집을 잃고 극빈곤층으로 전락할 위험에 처했다”며 건설중단을 촉구했다.
이번 유엔이 내놓은 성명은 지난 6월 오디샤주 주민 수만명이 포스코 제철소 건립을 위한 당국의 불법 토지강탈에 위협받고 있다는 인권단체 보고서가 나온 데 대한 후속 조치다.
인도 현지에서는 포스코가 인도 현지의 삼림주민보호법에 따른 사전 동의 없이 사업을 추진하고 있고 이를 위해 2005년 실시한 환경영향평가도 조작했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주장에 따르면 포스코 제철소가 건립되는 오디샤주 지역은 해변의 모래 구릉지역으로 매년 태풍으로부터 주민들을 보호하는 자연방벽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제철소 건설로 모래구릉지역이 없어지면 태풍의 피해는 주민의 몫이 될 뿐만 아니라 식수, 농업용수 등 수자원 고갈과 바다의 생태계 파괴도 심각하다.
그럼에도 포스코가 사업을 강행하기 위해 아무 문제가 없는 것처럼 평가서를 조작했다는 게 주장의 요지다.
현지에서는 이와 함께 인도정부 당국이 포스코를 돕기 위해 오디샤주 제철소 부지를 매입하는 과정에서 불법적으로 토지를 강탈했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인도 현지 언론에 따르면 오디샤주 제철소 건설 사업을 위해서는 2만2000명이 이주를 해야 한다. 이들은 선조때부터 농업과 어업, 삼림채취를 통해 살아온 주민들이다.
이들에게 인도정부 당국과 결탁한 포스코는 제대로 된 보상정책이 거의 없는 상태로 박으로 내몰았다는 주장이다.
인도 인권활동가들은 지난 3월 한국서 포스코의 인도 현지 사업의 부도덕함을 알리며 “조상으로 부터 이어온 땅을 포스코가 강탈하고 있다. 사업을 철수하고 나가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포스코는 최근 어렵게 당국으로부터 토지매입을 완료하고 환경 인허가 갱신 문제도 해결했지만 불법 토지강탈을 주장하는 원주민의 저항에 발목이 잡히고 있다.
포스코의 제철소 건설이 가시화되자 지난 7년간 비교적 평화적으로 반대 시위를 해온 주민들은 최근 정부와 경찰이 폭력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 오디샤주의 포스코 제철소는 120억달러(약 12조8820억원)가 드는 대규모 공사로 공장이 가동되면 연 1200만톤을 생산해 인도 제1의 제철소가 된다.
하지만 사업 추진단계부터 지금까지 국제사회의 규범을 준수하지 않고 현지 주민의 인권과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무리한 사업 추진으로 유엔으로부터도 비난을 받는 처지가 됐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국내에서는 정준양 회장이 나서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공헌을 다짐하면서 해외에서는 인권을 유린하는 기업으로 비춰지는 것은 국가적 망신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윤경현 기자 squashkh@

뉴스웨이 윤경현 기자
squashkh@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