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5일 일요일

서울 20℃

인천 21℃

백령 20℃

춘천 20℃

강릉 20℃

청주 21℃

수원 21℃

안동 21℃

울릉도 22℃

독도 22℃

대전 22℃

전주 23℃

광주 23℃

목포 22℃

여수 24℃

대구 23℃

울산 21℃

창원 23℃

부산 22℃

제주 23℃

‘지방쓰는법’···앞에서 볼 때 고위 왼쪽·비위 오른쪽

‘지방쓰는법’···앞에서 볼 때 고위 왼쪽·비위 오른쪽

등록 2015.02.18 17:31

김지성

  기자

공유

지방쓰는법. 사진=네이버 지방쓰기 화면 갈무리지방쓰는법. 사진=네이버 지방쓰기 화면 갈무리


2015년 청양띠 설날을 맞아 ‘지방쓰는법’이 주요 포털사이트 실시간 검색어로 떠올랐다.

지방은 제사 전 사자의 이름과 관직 등을 종이에 적어 제작하고, 제사 후에 태워버리는 것을 말한다. 조선 초기부터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방쓰는법은 한지(백지)를 폭 6cm 정도, 길이 22cm 정도로 잘라 사용하면 된다, 지방틀이 있으면 틀에 맞춘다.

앞에서 볼 때 고위(아버지)를 왼쪽, 비위(어머니)를 오른쪽에 쓴다. 한 분만 돌아가셨다면 중앙에 쓴다. 공통으로 맨 끝에 ‘신위(神位)’라고 쓴다.

김지성 기자 kjs@

뉴스웨이 김지성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