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정부, 美금리동결로 외화유동성 관리 ‘중점’···금융사 관리·지도(종합)

정부, 美금리동결로 외화유동성 관리 ‘중점’···금융사 관리·지도(종합)

등록 2015.09.18 10:19

현상철

  기자

공유

정부는 17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기준금리를 동결한 데 대해 금융시장 불안을 다소 완화할 요인으로 평가했다.

동시에 정부는 금융회사들이 보수적으로 외화유동성을 관리하도록 지도하고, 가계부채, 한계기업 등 우리경제 위험요인에 대한 대처노력을 지속하기 위해 정책적 노력을 강화한다.

정부는 18일 명동 은행회관에서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주형환 기획재정부 제1차관 주재로 미국 연준의 9월 FOMC 결과 및 영향 관련 거시경제 금융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 주 차관은 “기준금리 유지는 그간 계속된 금융시장 불안을 다소 완화시켜줄 수 있는 요인으로 평가된다”면서 “단, 금리인상 개시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이 남아 있어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은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중국과 여타 신흥국 경기둔화 여부가 미국의 금리인상을 포함한 국제금융시장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면서도 “그러나 우리경제는 어떠한 대외 충격에도 충분히 감내할 수 있는 견실한 펀더멘털(기초여건)을 가지고 있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주 차관은 최근 S&P가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상향조정한 것에 큰 의미를 부여하며 “우리나라 신용등급이 타 신흥국과 대조적인 모습을 나타낸 것과 같이 향후 국제금융시장 흐름에 있어 우리나라는 타 신흥국들과 차별화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날 회의에서 정부는 중국 및 신흥국을 포함한 글로벌 경기와 국제금융시장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국내은행들은 충분한 외화유동성을 보유하고 있고, 외화차입여건도 양호한 것으로 평가했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경험을 감안할 대 외화유동성 관리를 각별히 신경 쓰기로 했다.

이를 위해 가산금리, 차환율 등 차입여건을 모니터링하고, 금융회사들이 보수적으로 외화유동성을 관리하도록 지도할 계획이다.

국내 경제여건과 관련해 가계부채나 한계기업 등 위험요인에 대한 대처노력을 지속하고, 경제체질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4대 부문 구조개혁, 확장적 거시정책, 내수·수출 균형을 이루는 경제구조 전환 등 정책적 노력도 강화할 방침이다.

중국을 포함한 신흥경제의 구조변화 및 우리경제 영향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에 한정된 T/F를 신흥국 전반을 대상으로 확대,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체계적 대응전략을 조속히 구체화하기로 했다.

세종=현상철 기자 hsc329@

뉴스웨이 현상철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