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4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박삼구 회장 父子, 금호타이어·금호산업 지분 전량 처분

박삼구 회장 父子, 금호타이어·금호산업 지분 전량 처분

등록 2015.10.27 18:21

수정 2015.10.28 07:22

정백현

  기자

공유

블록딜 형태로 매각 결정···현금 1540억원 조달박 회장, ‘새 지주사’ 될 SPC에 4200억원 투자남은 인수대금은 금융권서 SI 모집해 해결키로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 사진=금호아시아나그룹 제공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 사진=금호아시아나그룹 제공

7228억원에 금호산업 지분 50%+1주를 인수하기로 한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의 자금 조달 계획이 윤곽을 드러냈다. 금호타이어와 금호산업 지분을 시간외 대량매매(블록딜) 형식으로 처분해 1500억원 규모의 현금을 조달하는 것이 첫째 관문이다.

27일 금호아시아나그룹에 따르면 박 회장과 박 회장의 장남 박세창 금호타이어 부사장, 그룹 산하 재단인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등이 보유하고 있는 금호타이어 지분 8.14%(1286만7736주)를 블록딜로 매각키로 결정하고 투자자 모집을 시작했다.

이와 함께 박 회장 부자가 보유하고 있던 금호산업 지분 9.93%(345만6179주) 역시 블록딜 형식으로 매각하는 방안을 확정지었다. 금호타이어와 금호산업의 1주당 가치(27일 종가 기준)는 각각 7300원과 1만7400원이다.

이를 통해 박 회장 측이 조달하게 되는 현금은 1541억원(금호타이어 지분 가치 940억원·금호산업 지분 가치 601억원)이다. 이들 지분의 매각가에 할인율은 반영되지 않았으며 두 회사 지분 매각 작업은 금호산업 인수 재무자문을 맡은 NH투자증권이 주간사로 나선다.

앞서 박 회장은 현재 담보로 잡혀 있는 금호타이어 지분에 대해 금호산업 인수용 특수목적법인(SPC)으로 담보를 대체해 달라고 금호타이어 채권단에 요청했다. 채권단은 박 회장의 요청을 동의하고 지분 인수 주체 공개를 전제로 매각제한 해제를 결정한 바 있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금호산업 지분 50%+1주 인수 목적으로 별도의 특수목적회사(SPC)를 세울 예정이다.

박 회장은 그룹의 새로운 지주회사가 될 이 SPC에 이번에 조달된 현금을 포함해 총 4200억원을 투자해 경영권을 확보하게 될 예정이다.

남은 인수대금인 약 3000억원은 자체 조달하거나 금융권 내 전략적 투자자를 통해 조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박 회장은 “금융권 내에서 자신을 도와주는 이들이 많다”며 투자자 모집에 자신감을 연신 나타낸 바 있다.

박 회장 측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금호산업 지분 인수를 위한 자금 조달 계획서를 오는 11월 6일까지 금호산업의 주채권은행인 KDB산업은행을 비롯한 모든 채권금융사에 제출할 예정이다.

이 계획이 원안대로 통과할 경우 박 회장의 금호산업 인수는 탄력을 받게 된다. 박 회장 측은 오는 12월 30일까지 인수대금 7228억원을 완납해야 금호산업 경영권을 되찾을 수 있게 된다.

한편 금호아시아나그룹은 주채권은행인 KDB산업은행 측과 지난 9월 24일 7228억원에 금호산업 지분 50%+1주를 인수하기로 계약을 맺었다.

정백현 기자 andrew.j@

뉴스웨이 정백현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