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공공기관 비정규직 근로자 14만4천명···파견·용역직은 8만3328명

공공기관 비정규직 근로자 14만4천명···파견·용역직은 8만3328명

등록 2017.05.14 09:58

안민

  기자

공유

공공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비정규직 근로자가 14만4000명으로 조사 됐다. 전체 직원 3명 중 1명은 비정규직이라는 말이다. 특히 파견·용역직 같은 간접고용 형태의 협력사 직원도 8만3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최신혜 기자사진=최신혜 기자

14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정보공개시스템인 알리오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으로 중앙정부 각 부처 산하 공공기관 332곳과 공공기관의 부설기관 23곳 등 355곳의 업무 종사자는 모두 42만9402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정규직은 28만5197명으로 66.4% 수준이다.

나머지는 비정규직, 무기계약직, 협력사 직원 등 사실상 비정규직 인력으로 14만4205명에 달해 33.6%를 차지했다. 공공부문에서 중앙·지방 공무원 등까지 고려하면 비정규직은 30만명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부적으로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중간 형태의 무기계약직이 2만3464명(5.5%), 비정규직이 3만7411명(8.7%), 협력사 직원인 파견·용역직 등이 8만3328명(19.4%)이다.

비정규직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100%의 한국여성인권진흥원으로 조사 됐다. 직원 77명 중 정규직이 한 명도 없다는 의미다. 비정규직이 36명이고 나머지는 무기계약직이다. 소속 외 인력은 없다.

다음으로 비정규직 근로자가 많은 곳은 우체국시설관리단으로 98.1%로 나타났다. 이어 코레일테크 95.1%, 코레일네트웍스 94.4%,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93.4%, 한국잡월드는 88.4%, 인천공항공사 85.6%, 세종학당재단 83.9%, 한국마사회 81.9%, 한국장애인개발원 81.9% 등 순으로 조사됐다.

인천공항공사처럼 간접고용 형태의 파견·용역직이 많은 기관은 한국전력공사로 그 수는 7715명으로 나타나싿. 한국수력원자력(7054명), 인천국제공항(6903명), 한국철도공사(6230명), 한국공항공사(4038명), 주택관리공단(2406명), 국민건강보험공단(2126명) 등이다.

한편 직원이 모두 정규직인 곳은 88관광개발(35명), 국제식물검역인증원(48명), 한국장기기증원(81명), 정부법무공단(102명),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120명) 등 5곳뿐이다.

뉴스웨이 안민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