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감원, 은행 ‘중소기업 여신취급 규제’ 합리화···“자금중개기능 보강”

금감원, 은행 ‘중소기업 여신취급 규제’ 합리화···“자금중개기능 보강”

등록 2018.12.23 12:00

차재서

  기자

공유

금융감독원.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금융감독원.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

금융감독원이 중소기업 여신취급에 대한 은행의 자본규제를 개선한다. 생산적 부문으로의 자금공급을 확대하기 위함이다.

23일 금감원은 중소기업 인정범위를 매출액 700억원으로 확대하는 등 중소기업여신특례 적용 대상을 확대하고 신설기업도 중소기업으로 분류되도록 기준을 바꾸겠다고 밝혔다.

현행 자본규제에서는 은행이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을 산출할 때 중소기업여신에 대한 특례를 허용하고 있다. 다만 연 매출액이 600억원 이하인 중소기업에 대해서만 특례가 적용돼 환경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많았다.

또 매출액 기준으로만 보수적으로 운영되며 신설기업에 대해서는 개업초기 재무제표가 없는 등 사유로 특례를 적용하기 어려웠던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이에 금감원은 은행 BIS비율 산출시 중소기업과 매출액이 없는 신설기업이 불이익을 받는지 등을 점검했다. 그 결과 국내 금융시스템 안정성, 글로벌규제 정합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관련 제도를 개선키로 했다.

이를 통해 9000여 기업차주가 중소기업으로 추가 분류돼 해당 특례를 새로 적용받을 수 있을 전망이다. 해당여신을 취급한 은행의 자본부담 역시 경감될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 등 이해관계자로부터의 의견수렴을 거쳐 2019년 상반기 중 은행업감독업무시행세칙을 개정·시행할 계획”이라며 “국내 은행권이 실물경제에 대한 자금중개기능을 보강해 나갈 수 있도록 계속 유도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