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2일 목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작년 법규위반 외국환 거래 923건···절반은 해외직접투자

작년 법규위반 외국환 거래 923건···절반은 해외직접투자

등록 2021.03.25 12:00

허지은

  기자

공유

871건은 행정제재·52건은 검찰 통보

자료=금융감독원자료=금융감독원

#한국에 사는 A씨는 베트남 소재 현지법인에 3만달러를 송금하면서 외국환은행장에게 해외직접투자 자금임을 밝히지 않았다. A씨는 해외직접투자 신고 누락 혐의로 외국환거래법상 위규가 적발돼 과태료 처분을 받았다.

금융감독원이 지난해 적발한 위규 외국환 거래가 총 923건으로 조사됐다. 전체 위규 유형 중 A씨와 같은 해외직접투자 위반 건수가 절반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이 24일 발표한 ‘2020년중 위규 외국환거래에 대한 조치 현황’에 따르면 해외직접투자 위규 외국환거래는 전체의 51.8%인 478건을 차지했다. 금전대차(13.8%·126건), 부동산투자(8.9%·82건), 증권매매(4.9%·45건) 순으로 나타났다.

의무사항 별로는 신규신고 의무위반이 전체의 55.8%로 가장 많았고 변경신고(26.1%), 보고(14.6%), 지급·수령 절차 준수(3.5%) 순이다. 외국환거래법상 거래 당사자는 신규신고, 변경신고, 보고, 지급·수령 절차 준수 등의 의무를 진다.

해외직접투자와 부동산투자의 경우 신규신고의무 위반이 절반을 넘었다. 거래 당사자가 신고의무 자체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소홀히 한 경우다.

특히 해외직접투자의 경우 최초 신고 이후 보고의무를 위반한 비중이 25.6%로 다른 거래유형 대비 상대적으로 높았다. 최초 외국환거래 신고 이후에도 거래단계별로 보고의무가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고 금감원은 강조했다.

금감원은 전체 923건 중 871건에 대해 과태료(435건) 및 경고(436건) 등 행정제재를 조치했고, 52건은 검찰에 통보했다. 이중 기업이 515건, 개인이 408건을 차지했다.

금감원은 “개인 및 기업이 외국환거래법상 신고·보고 의무를 잘 알지 못해 법규 위반으로 과태료·경고, 경찰 통보 등의 불이익을 받는 경우가 많아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며 “향후 은행의 대고객 안내와 유의사항 홍보활동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뉴스웨이 허지은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