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부동산 2.4대책 약발 먹히나...서울 집값 상승률 축소

부동산 부동산일반

2.4대책 약발 먹히나...서울 집값 상승률 축소

등록 2021.04.04 10:23

서승범

  기자

공유

상승률 2월 첫째주 0.10%에서 지난주 0.05%로 하락공공직접시행정비사업 신청 늘어 공급 활성화 기대

사진=연합뉴스사진=연합뉴스

정부가 2.4대책을 발표한 이후 서울 집값 상승 추세가 점차 낮아지고 있다.

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2월 첫째 주 0.10%로 올해 최고치를 찍고 2월 둘째 주 0.09%로 내려온 이후 지난주 0.05%까지 줄어들었다.

이는 공공 정비사업을 통해 대규모 공급을 예고하자 이를 기다리는 대기수요가 늘어나면서 집값의 움직임이 잠잠해진 것으로 풀이된다.

2.4 대책의 핵심 내용인 ‘공공 직접시행 정비사업’도 초반부터 성과를 보이고 있다. 지자체와 조합 약 50곳이 참여 의사를 밝힌 것.

국토부에 따르면 공공 직접시행 정비사업 후보지로 최근까지 총 48곳의 후보지가 제안돼 검토 중이다.

이 중 41곳은 지자체가 제의한 후보지고 7곳은 민간 조합이 신청했다. 사업지 중 22곳은 재개발, 25곳은 재건축이다. 재건축은 서울지역에서 24곳, 대구 1곳으로 서울에 집중됐다. 재개발은 서울 16건, 인천 5곳, 경기 1곳, 부산 1곳 등이다.

정부는 이달 중 선도사업지를 선별해 발표하고 주민 동의 확보 등 후속 절차를 추진할 방침이다.

또 도심 공공주택 복합개발사업의 경우 지난달 1차 선도사업지 21곳을 공개한 데 이어 이달과 내달 서울 2·3차 지자체 제안 후보지를 발표하는 등 사업지를 확대할 예정이다.

도심 공공주택 복합개발을 신청한 후보지는 341곳이다. 정부는 공공주택 복합개발 후보지의 주택 공급물량을 추산했을 때 총 32만8000가구가 나올 수 있는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는 정부가 2.4대책을 통해 제시한 서울 주택 공급 목표치(32만3000가구)를 뛰어넘는 수치다.

여기에 공공 직접시행 정비사업, 주거재생혁신지구 사업, 소규모 정비사업 등 다른 주택공급 사업을 합치면 공급량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태그

ad

댓글